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음식물 쓰레기로 발효성 수소를 생산하는 종합-바이오 공정의 기술 경제성 분석

전문가 제언

음식물 쓰레기는 대기 중에서 부패하면 유독가스를 발생하여 위생문제까지 유발하는 심각한 공해물질이다. 현재 가장 많이 쓰는 방법으로 매립하더라도 침출수를 발생시키고 소각하면 악취가 발생하여 토양, 대기 또는 수질을 오염한다. 따라서 이 공해물질을 혐기성 소화 처리하여 바이오연료를 얻는다면 일석이조의 매우 촉망되는 폐기물 활용이 된다.

 

본문의 저자들은 음식물 쓰레기에서 암 발효를 통해 수소 생산 통합 바이오공정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고 주장한다. 먼저 미생물 발효로 음식물 쓰레기에서 녹말과 단백질 분해효소를 만든다. 이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가수분해 하고 그 생성물을 암 발효로 수소를 생산하는 공정이다. 이때 살균한 후 수소발생균주를 접종한 하수 슬러지를 투입한다.

 

본문은 이 공정을 중국 항주에 3/일의 용량으로 건립하였을 때 기술-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고 경제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5년이면 투자를 회수할 수 있고 투자 수익률이 26.75%이나 된다는 주장이다.

 

여기서 암 발효에 대한 약간의 기술적 설명이 필요하다. 암 발효는 혐기성 소화와 비슷한 원리이나 CH4 형성을 위해 H2를 소비하는 메탄-생선균을 억제해야 한다. 이 메탄 억제 방법에는 (1) 열처리로 수소-생성균만 선정, (2) 메탄-생성균 범위(6.3 이하 또는 7.8 이상) 외로 pH 변경, (3) 아세틸렌 또는 클로로포름 같은 화학약품 첨가 등이 있다. 발효 전 암모니아의 농도가 수소 생산 미생물의 발효를 억제하기도 함으로 발효 전 암모니아 농도 감소를 위해 음식물 쓰레기의 전-처리가 필요하다. (Bioresource Technology, 99, 2008, pp.7941~7953)

 

우리나라의 음식물 쓰레기에서 수소 생산 연구는 이미 1990년대 에너지 기술 연구원의 김미선 박사 팀이 수행한바 있다. 이 팀이 사용한 기술의 특징은 이 기질인 음식물 쓰레기를 초고압 상태에서 발효시키는 것이었다.

 

 

 

 

저자
Han, W., Fang, J., Liu, Z., Tang, J.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202()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07~112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