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 무선센서망의 링크특성
- 전문가 제언
-
○ 공중 무선센서망(AWSN)은 지상 애드혹 망을 공중에 위치한 망으로서 고가의 기간시설 없이 공중 UAV를 센서와 중계기로 이용하여 독립 운용 또는 지상의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들과 상호 협력하여 이동형 무선망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의 이동성에 따라 망 가입과 탈퇴가 용이한 망이다.
○ 군 통신 차량에 무선 애드혹 망 장비를 탑재하여 차량 간의 독립 무선망 구축이 가능하여 전-평시에 효율적인 전술정보를 상호지원 함으로서 전투력을 향상시킨다. 산악지형이 많은 동부전선과 기간시설이 없는 북한지역에서 작전할 경우 AWSN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자율적인 무선망 구축은 절실하며 언제 어디서나 군 지휘 통제가 가능하도록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이 시급한 시점이다.
○ AWSN 운용 효율은 송수신기 안테나 방향에 따른 링크 품질에 좌우된다. 공대공(AA) 공대지(AG) 지대공(GA)의 3개 통신 링크의 경로 손실을 추정하여 AWSN 시뮬레이션 정밀도를 향상시켜 설계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송수신기 상호 거리와 높이에 따른 AWSN 링크 품질 추정도 요구되며 이때 패킷 손실과 RSSI가 링크 간 성능 비교를 위해 사용된다.
○ 선진국에서는 무선 애드혹 망 기술의 공중 운용으로 확장하고 있다. AWSN 기술에 소형 무인항공기(UAV) 기술을 도입하여 범죄예방 재난구조 국가시설감시 기상관측 등에 적용 가능한 AWSN 망 구축을 준비하고 있다. 필요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분산 노드를 상호 직접 접속하는 다중 홉 기반의 망 서비스가 가능한 지능적이고 효율적인 ‘토폴로지 제어 및 관리기술’ 개발에 많은 연구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 국내에는 아직 관련 기술의 수요 부족으로 애드혹 망과 AWSN 관련 연구는 기초연구 수준으로 매우 제한되어 있지만 최근 군사용으로 미래 전술통신체계의 새로운 대안으로 연구되고 있다. 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이동환경 변화가 신속하고 광역화 추세에 대비하면서 선진국 기술예속화 방지를 위해 적응적이고 협력적이며 기회적인 통신망 지원이 가능한 AWSN 기술 개발을 위하여 정부의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 저자
- Nadeem Ahmed, Salil S. Kanhere, Sanjay Jh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54(5)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2~57
- 분석자
- 조*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