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구온난화 기후변화에 따른 수도(벼) 작물의 생장과 수확량 예측

전문가 제언

미국의 농무성(USDA)1972년 농업 생산체계의 효율적으로 운영과 기후변화 적응성에 수확량이 높은 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농작물의 생육과정을 모의할 수 있는 수치모델을 개발하게 되었다.

 

벼논의 기상상태를 예측하여 생육기간별로 벼의 수확량을 높이고 기상재해 등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수도작생육모의 컴퓨터모델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도 농업과학기술원과 서울대학교 등에서 수행되고 있다. 수도() 뿐만 아니라 콩, 옥수수 등 작물의 생육상태를 성장기간 내에 감시하고 예측하기 위한 컴퓨터수치모델의 활용성에 대해서 1996년부터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조사되어 왔다.

 

1981년 하와이 대학 IBSNAT 연구소에서 개발한 CERES-Rice model은 개인 컴퓨터에서 모의할 수 있는 효율적 벼 생산 예측 모델로서 미국 환경청의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작물의 컴퓨터생육모델을 이용하여 품종개량과 수확량 예측에 활용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옥수수 모델(corn model), 밀 모델(wheat model), 콩 모델(soybean model) 그리고 벼 모델(rice model) 등이다.

 

이들 모델은 이산화탄소 농도증가 기후의 변화에 따른 농작물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기상학자들에게도 크게 이용되고 있다. 작물의 유전적 생리생태 상태와 재배지의 지리지형 및 토양 자료는 고정적으로 입력되고 여기에 기온과 강수, 일사 등 매일의 기상조건이 입력된다.

 

본 연구는 기상학적 측면에서 2020, 2050년 그리고 2080년의 대기의 대표 이산화탄소 농도를 RCP8.5RCP4.5 시나리오로 입력한 CERES -Rice model을 이용하여 벼 생장과 수확량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온난화에 의한 기온의 증가는 오히려 생육기를 앞당겨 모의에 활용된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 등 모든 품종에서 수확량의 감소를 보였다.

 

농작물의 생육모의는 아직은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작물의 품종개량과 농업경제정책과 기후변화에 대한 생태계 대응 등에 매우 유용하다.

저자
WENXIANG WU, QUANSHENG GE, YANG ZHOU, CHENCHEN X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55()
잡지명
Journal of Applied Meterology and Climat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359~1376
분석자
오*남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