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광 민감화 이차 화약의 다이오드 레이저 점화

전문가 제언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화약폭발은 인명과 재산에 치명적 손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화약 안전은 무기체계의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화약 안전에 대한 위해요소 중 중요하게 취급되는 것으로는 정전기, 전자파 간섭, 충격이나 고온에 민감한 일차화약의 사용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위해요소들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차화약의 광 기폭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카본블랙과 같은 광 민감화(optically sensitised) 물질을 화약입자들의 표면에 도포하여 민감화하면 상업적 구매가 가능한 적외선 레이저 다이오드를 적용하여 부피가 작고 경제적인 광학적 방식의 점화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 이차화약의 광 점화에 필요한 최소 레이저 출력은 HNS IV 4W, FOX-7 10W 정도이고 40W 근처의 빠른 기폭조건에서 FOX-7의 점화 지연시간은 0.1ms 이하까지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두 개 이상의 기폭점을 가지는 정밀 기폭탄두에서 요구되는 점화시간 정밀도가 마이크로 초 이하인 것을 고려하면 광 점화장치를 이러한 탄두에 적용하는 것은 아직 한계가 있어 보인다.

 

이 보고서는 영국 Defence AcademyX. Fang 등이 HNS IV 화약을 카본블랙 분말과 흡수대역이 811 25nm인 화학염료를 사용하여 광 민감화하고 광 점화 특성을 비교 분석한 논문을 검토한 것이다. 화학염료와 카본블랙은 임계출력 점화 지연시간, 완전연소 지연시간 등에서 비슷한 광 점화특성을 나타냈다.

 

국내의 경우 에너지물질의 점화장치에 대부분 전기적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광 점화에 대한 연구도 체계적으로 진행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기적 방식의 점화장치를 적용한 무기체계는 정전기나 전자파 간섭 신호에 의해 우발적으로 폭발하거나 적의 EMP 공격에 의해 무력화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광학적 점화장치를 개발할 경우 X. Fang 등의 연구결과는 광 민감화 물질의 선정과 레이저 발생장치의 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X. Fang, S. R. Ahmad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6
권(호)
13(1)
잡지명
Central European Journal of Energetic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03~115
분석자
송*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