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국에서 유전자변형작물의 도입 이래 농약사용의 추세

전문가 제언

전형적으로 작물에 사용된 일부 농약이 농경지 밖으로 이동하여 대기, 표면수와 지하수로 이동함에 따라 인간 및 환경보건에 미치는 농약의 부작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농약의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작물수량을 높이기 위하여 특정제초제에 저항성을 보이고 자체적으로 살충성분을 생산하는 유전자변형작물의 도입과 농약의 사용 감소이다.

 

Bt옥수수와 목화의 도입된 이래 살충제 사용량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GM작물의 도입이 원인이 될 수 있지만 다른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었다. 규제조치로 인한 유기인계 살충제와 같은 일부 전통적 살충제의 사용감소와 고활성을 나타내어 저약량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살충제를 개발하려는 농약업계의 움직임이 있었다. 또한 2000년 중반에 시작된 종자처리제로서 neonicotinoids의 광범한 사용은 미국에서 살충제 사용의 형태를 변화시켰다.

 

Glyphosate 저항성 콩이 도입된 직후 콩에 사용된 제초제는 처음 감소되기 시작하였으나 2000년 초까지 제초제 사용량은 glyphosate 저항성 콩 도입이전보다 높았다. 2009년에 사용량은 대부분 glyphosate 때문에 현저하게 많았다. 콩에서와 마찬가지로 옥수수와 목화에 사용한 제초제 총량은 glyphosate 저항성 옥수수와 목화 도입 직후 감소되었으나 몇 년 후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2009년에는 목화에 사용된 제초제 총량은 glyphosate 저항성 목화 도입이전과 비슷하였고 옥수수에는 제초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었지만 아직 저항성작물 도입이전보다 낮았다.

 

우리나라에서는 농촌진흥청과 일부 대학을 중심으로 유전자변형작물의 품종 육성과 GM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농가포장에서 GM작물의 재배는 아직 허가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GM작물 도입에 따른 농약사용의 실태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 않았지만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기초적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저자
R. H. Coupe and P. D. Cape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72()
잡지명
Pest Managemen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13~1022
분석자
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