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량이 높은 도시고형폐기물의 바이오건조 기술개발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건조 반응기는 최소한의 체류시간으로 도시고형폐기물을 전처리하여 고품질의 폐기물회수연료(RDF: refuse derived fuel)를 만들어내는 목적을 갖고 있다. 바이오건조 프로세스는 도시고형폐기물의 기질 속에 존재하는 수분을 중·저온의 자체가열 시스템으로 제거하여 도시고형폐기물의 에너지 함량을 증대시키고, 최소한의 생분해를 통해 유기화합물의 총체적 열량값을 최대한 보전하는 기술이다.
○ 바이오건조에 의해 건조된 도시고형폐기물의 기질(substrate)은 그 기질의 부착성과 점착성이 저감되게 되므로, 도시고형폐기물의 처리공정에 보다 적합한 기질이 되고, 그 소각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새로운 에너지를 생산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 바이오건조 기술은 도시고형폐기물의 단시간 체류 및 단기간 저장시키고, 부분적으로는 생물학적 안정화(bio-stabilizing)를 가져오고, 생분해(biodegradation)의 한계치 이하로 그 수분 함량을 저감시켜 주는 기술이다. 도시고형폐기물의 바이오건조물(bio-dried material)은 저온살균 위생처리 되므로, 바이오건조 된 폐기물회수연료(RDF)는 최상의 재생가능한 연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 바이오건조 기술을 제어하는 기법으로서는 온도-피드백 제어가 가장 적절한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바이오건조 기술에서는 도시고형폐기물의 온도구배를 완화시켜야 하고 함수량과 에너지의 측면에서 균질한 산물을 만들어내어야 하므로, 회전드럼식(rotating drum)의 반응기가 최적이라고 할 수 있다.
○ 우리나라 환경기업이 도시고형폐기물 연료화의 가치성을 크게 높여주는 바이오건조 기술을 개발하자면, 공업발효(industrial fermentation)의 퇴비화(composting) 공정을 바이오건조 공정과 분명하게 구분해 그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심도있는 기초연구가 필요하고, 그렇게 개발된 바이오건조 플랜트를 겨울철 건조용 공기의 가온에 필요한 배열(폐열)을 이용할 수 있는 도시쓰레기 소각장 인근지역에 설치하게 되면, 폐기물회수연료(RDF) 생산의 경제성과 타당성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 저자
- Asha P. Tom, Renu Pawels, Ajit Harida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49()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4~72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