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시멘트 제조 대체연료로서의 MRF 잔류물 응용기술 개발

전문가 제언

현재 미국의 도시고형폐기물(MSW: Municipal Solid Waste)의 자원순환 비율은 30%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도시고형폐기물을 분류하는 폐기물회수시설(MRF: Material Recovery Facility)도 유입폐기물의 100%를 회수하지는 못하고, 전체 분류폐기물의 515%는 잔류폐기물로서 매립처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잔류폐기물은 고-에너지를 함유하고 있지만 자원순환되지 않은 플라스틱과 섬유류(fiber)이다.

 

에너지 집약성 물질의 전수명적 해결책(end-of-life solution)은 그러한 잔류폐기물을 처리하여 폐기물회수연료(SRF: Solid Recovery Fuel)로 만드는 일이다. SRF는 산업체와 발전소에서 이용되고 있는 석탄·천연가스·석유·바이오매스와 같은 에너지 자원을 대체하거나 보충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는 MRF(폐기물회수시설)의 잔류폐기물에서 생겨나는 자원 순환되지 않은 소비자 배출 플라스틱과 섬유류를 시멘트 제조로(kiln)에서 폐기물회수연료의 SRF로 적용할 수 있도록 전환시키는 에너지 측면과 환경적 측면의 편익성과 상충성(相充性: trade-offs)을 평가·산정하여야 대체 에너지로 이용가능한 것이다.

 

시멘트 제조 시스템의 일차하소로(precalciner)에서 118MgSRF를 연소시키는 조사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여기서의 SRF60%MRF 잔류폐기물과 40%의 산업체 배출폐기물의 혼합물로서 60%의 플라스틱과 40%의 섬유질로 구성된다. MRF, SRF-제조시설, 매립장을 동일한 영역의 동일한 장소에 설치하게 되면, 이송량과 수송량마저 삭감시켜 SRF 적용의 편익성을 크게 증가시켜 준다.

 

우리나라에서는 도시고형폐기물을 SRF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SRF를 합목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과 더불어, 도시고형폐기물의 안정적·장기적 확보 시스템을 동시에 구축해가야 한다. 도시고형폐기물을 계곡 사이에 산더미처럼 쌓아놓지 않고 SRF 적용사업을 개시한다면, 폐타이어 활용에서 확인된 것처럼 돈 되는 물건으로 간주하여 사재기 하는 원료공급 문제가 초래되기 때문이다.

저자
John R. Fyffe, Alex C. Breckel, Aaron K. Townsend, Michael E. Webbe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47()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76~284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