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풍력 에너지의 동향과 실현가능 기술

전문가 제언

대체 에너지원의 개발은 화석 에너지원이 감소하므로 필수 요소가 되었다. 동시에 에니지 수요가 급증해서 세계적 에너지 위기의 직전에 놓여 있다. 더구나 종래의 에너지원의 광범위한 사용은 환경을 오염시키고 지구 온난화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풍력과 다른 신재생 에너지원은 실행 가능하고 깨끗한 대안이다. 낮은 운영비와 광범위한 가용성으로 풍력은 가장 이롭고 효율적인 신재생 에너지원의 하나이다.

 

이 글은 신재생 에너지원 배치 필요성의 노출과 전 세계 설치된 풍력 발전 용량뿐만 아니라 응용 및 작업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풍력 기술의 검토를 제공한다. 또한, 풍력 발전 단지의 전기 발전 비용뿐만 아니라 풍력 에너지 시스템의 설치를 옹호하는 경제 및 환경 정책에 대해 설명한다.

 

제주 전력계통에서 현재 운영 중인 풍력발전기에 의한 발전량의 최대 점유율은 5.54%이며, 풍력발전 단지의 출력 변동에 의해 제주 전력계통 운영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경우는 없었다. 그러나 향후 2년 내에 풍력발전기에 의한 발전량 최대 점유율은 20%까지 기록될 것으로 예측되어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제주지역에 설치될 풍력설비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충북대학교의 황미영 등은 풍력발전 전력 생산량의 불규칙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계층 신경망을 이용해 예측모델을 구축하였다. Power Ramp Rate(PRR), 풍속, 풍향의 속성 모두를 사용한 예측모델 값이 풍력 터빈에서 관측된 관측 값에 가장 근접하였다. PRR 속성을 사용하여 풍력 발전량의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풍력과 태양광 발전 등의 신재생 에너지원의 혼성화는 전기발전을 극대화할 뿐 아니라 송전 손실 감소와 전력망과 연결할 때 첨두 수요의 완화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주도에 전기자동차의 양을 확대하여 야간에 충전할 수 있도록 신재생 에너지원의 스마트 그리드와 통합이 필요하다.

저자
Yogesh Kumar, Jordan Ringenberg, Soma Shekara Depuru, VijayK. Devabhaktuni, Jin Woo Lee, Efstratios Nikolaidis, Brett Andersen, Abdollah Afjeh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6
권(호)
53()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09~224
분석자
신*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