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모니터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 하드웨어 모듈은 웨어러블 모니터의 탑재몸체(그림1의 200)와 센싱 데이터를 형성/유지/관리하는 장착부재(그림1의 42)이다. 이들의 동작특성에 따라 웨어러블 모니터의 성능이 결정될 수 있다. 이 기술은 제1/제2/제3/제4 측벽(그림1의 210/212/46/48)을 통해 장착부재의 데이터 센싱기능(형성/유지/관리)을 강화시킨 점이 기술적 가치가 있다. 아울러 이들 측벽을 통해 센싱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인프라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상용화의 가치가 있다.
○ 웨어러블 모니터의 가장 중요한 핵심기능은 센싱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통합하고 관리하는 일이다. 이 기술에서는 이러한 통합관리 결과를 실시간으로 모바일 네트워킹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은 국내 웨어러블 기기 산업 분야의 네트워킹 플랫폼 기술에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다만, 4개의 측벽을 통해 센싱 데이터가 폭주(congestion)할 때에는 센싱 기능을 실시간으로 유지하기 위해 통합관리 플랫폼에 과부하(overload)가 발생하여 네트워킹 플랫폼에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개선하여 4개의 측벽을 듀얼구조로 분리 동작할 수 있도록 회피설계 방안이 필요하다.
○ IDC의 연구조사에 따르면, 2016년 1분기 전 세계 웨어러블 기기 시장규모는 출하량 기준 1,970만대로, 2015년 1분기 1,180만대 대비 67.2% 성장세를 나타냈다. 신제품 출시, 가격하락 등이 시장의 기록적인 성장세를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웨어러블 기기 시장도 동반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전후방(플랫폼 설계 및 웨어러블 콘텐츠 서비스 등) 글로벌 기술시장 선점을 위한 특화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 IDC는 2016년 스마트워치 시장에서 애플워치 시장점유율은 49.4%, 판매량은 1,400만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구글 안드로이드웨어를 채택한 스마트워치는 21.4%, 610만대로 그 뒤를 이을 전망이다. 2015년 애플워치 시장 점유율은 63%였다. 스마트워치도 스마트폰과 비슷한 트렌드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애플 워치OS와 구글 안드로이드웨어가 시장 점유율을 나눠가질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자
- MONTFORT SERVICES SDN. BHD.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51160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5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