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IoT 네트워크의 전력제어 기술

전문가 제언

 ○ 이 특허기술은 셀룰러 IoT 네트워크에서 메모리를 기반으로 전력과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IoT 네트워크는 기지국과 제1 통신세션을 확보하고 제1 통신세션이 설정되는 기간 동안 IoT 장치를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업 링크 전송과 관련된 신호 심볼 타이밍과 전력제어 레벨을 전송하여 세션을 종료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전력제어를 위한 통신세션 설정기술은 IoT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전력제어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무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은 다운링크를 통해 기지국에서 UE로, 업링크를 통해 UE에서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최근에는 업 링크와 다운링크가 통합된 자동화된 통신채널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 특허기술과 같이 업/다운 링크를 통한 효과적인 전력제어 기술은 국내 사물인터넷 기술분야의 M2M 통신과 MTC 전력제어 솔루션에 파급되어 커다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IoT 기술로 M2M, MTC 표준들이 제시되고 있다. 공적표준화 기구들의 표준화로 최근 3GPP는 IoT를 지원하기 위해 LPWA, Low Power, Wide Area 기술 등을 릴리즈하고 협대역 IoT(NB-IoT)와 기존의 진화 기술인 EC-GSM-IoT, LTE MTC Cat 등 모바일 IoT 네트워크를 구성하고자 하고 있다. oneM2M은 M2M/IoT서비스플랫폼 분야, ITU-T는 IoT-GSI와 JCA-IoT 등 IoT 모델링, IETF는 IoT 디바이스, IEEE는 WPAN 표준이 있으며 기업연합 표준으로 OIC, AllSeen 등이 있다. 국내 관련 기관 및 업체들의 기술개발 및 표준화 리딩이 필요하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에는 20여개의 센서가 탑재되어 있다. 지능형 자동차의 경우 약 200개 이상의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다양 한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의 출시로 센서 활용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디바이스 산업은 스마트기기에서 건강, 교육, 의료 등 다양한 영역으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이에 이 특허기술의 전력 및 타이밍 제어와 같은 고도의 기술개발에도 집중이 필요하다. 

저자
QUALCOMM INCORPORATED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WO20160057198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57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