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활쓰레기 유기물과 도축장 폐기물 혐기성 공동소화 프로세스 안정화에 미량 원소 첨가 영향

전문가 제언

본 연구는 생활쓰레기 유기물(OFMSW)과 도축폐기물이 분해하는 동안, 상이하게 결합된 미량원소 첨가의 영향을 모의실험 하기위해서 반 연속식 실험실규모 바이오가스 반응기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Fe, Co, 및 Ni 등이 결합된 첨가가 Fe, Fe와 Co 또는 Fe와 Ni 첨가에 비하여 우수하였으며, Ni-메탄생성미생물 개체군 탈취가 관련되어, 아마도 더 효과적인 산성발생 또는 호모아세토제네시스(homoacetogenesis)를 나타내어 Fe 첨가는 Fe와 Co 결합첨가 보다 더 안정된 프로세스를 나타냈다. 단독 Fe와 Ni에 비하여 결합첨가에서 높은 바이오가스 생산(+9%), 바이오가스 생산율(+35%) 및 휘발성지방산 농도 감소 등의 결과를 얻었다.

유기성폐기물 혐기성 소화 공정에서 혐기성미생물 생육에 필요한 대표적인 미량원소는 Fe, Ni, Co, Mo, Se, W 등이며, 이러한 미량원소 추가주입으로 혐기성미생물 생장속도와 활성을 증대하여 혐기성 소화 효율을 향상이 가능하였다.

혐기성 소화 공정에서 미량원소를 주입한 혼합액은 그렇지 않은 것보다 높은 소화효율을 보였으며, 높은 바이오가스 발생량과 메탄함량을 나타내 보였다. Co, Ni, Mo, Fe 등의 미량원소가 주입된 혼합액은 가장 높은 소화 효율을 보였으며, 미량원소 개별적인 소화효율 순위는 Fe, Co, Mo, Ni 등의 순서로 높은 소화효율을 나타내 보였다.

○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음폐수)을 혐기성소화처리 할 때에 유기물분해가 불충분하여 낮은 소화효율을 야기하고, 혐기성미생물 생장에 소요미량원소 농도가 낮게 포함되어 있어, 효과적인 혐기성소화공정을 위해서는 부족한 미량원소 주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축산폐기물 배출에 의한 녹조 또는, 적조 등과 같은 수자원 오염 및 정유 산업의 발달로, 미세조류배양과 바이오제품생산 연구에 적합한 환경으로, 축산폐기물 소화액의 바이오연료화가 기대된다.

저자
J.Moestedt, E. Nordell, S. Shakeri Yekta, J. Lundgren, M.Marti, C.Sundberg, J. Ejlertsson, B.H. Svensson, A. Bjor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47()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20
분석자
홍*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