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미네이팅 접착제의 경화 성형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특허의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현재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 그러나 식품산업이나 음식물 산업분야에 환경문제 등이 엄격하게 적용될 시기에는 라미네이팅 접착제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 거기에 들어가는 화학성분이 문제가 되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 새로운 라미네이팅을 위한 접착제로써 무공해 고분자 접착제 물질로는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피렌 등의 성분들을 감안하여 확보하는 것을 제언한다. 이 화학물질들은 무공해 물질로 알려져 있고, 미국 FDA나 국내외에서 허가품목으로 인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 건식이나 습식 방법의 라미네이팅 접착기술을 도입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것은 복합재료들의 브렌딩 기술이다. 또한 그 브렌드에 들어가는 고분자 물질들의 화학성분이 반드시 무공해로써 무독성을 가져야 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음식물들의 포장 재료에 사용될 경우에 여기에 만족할 수 있는 재료로써 적합하여야 되기 때문이다.
○ 본 발명특허에서는 박막 라미네이팅 접착제 재료로써 적용하기 위하여 브렌드화 물질들에 (a) 에폭시 말단의 폴리에스테르와 폴리말리에이트에스테르 및 다이아크릴에이트 말단 올리고머/폴리머, (b) 지방족 아민 경화제 등으로 조합이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 포함되는 화학재료들이 모두 무공해 무독성 화학물질들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국내에서 라미네이팅 가공처리 기법으로써 무광택 또는 유-광택 코팅을 사용하고 있다. 생생한 사진 등이 인쇄된 라미네이팅 유광 접착코팅 또는 무광 접착코팅을 적용하게 되면 종이나 포장재를 보호할 수 있고, 인쇄된 잉크가 변색되는 것들을 보호 방지할 수가 있다. 위의 두 가지 광택코팅방법들 중에서 유광접착코팅의 경우에서는 색깔의 선명성은 돋보이나 고급스러움을 나타낼 경우에는 무광접착코팅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고품질을 위한 상품을 제작하고자 할 때는 무광코팅을 적용하는 것을 제언한다.
- 저자
- ROHM AND HAAS COMPANY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105722
- 잡지명
- Curable Formulations for Laminating Ahesiv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4
- 분석자
- 성*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