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남아시아 카사바의 병해충 발생

전문가 제언

카사바는 개발도상국의 주요 식량과 바이오에너지 및 산업용 작물로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동남아의 카사바 재배면적은 400이상이고 약 800만의 소작농가에서 다른 작물에는 부적합한 포장조건에서도 재배하고 있다. 동남아지역 대부분의 카사바 역사는 식물위생 제약에서 사실상 자유로워 복합적인 절지해충과 질병은 최근에도 지역작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고에서는 2014년 건조기간 중 동남아 5개국 429개 농장에 대한 광범위한 모니터링 결과를 기술하였다. 현재의 지리학적 분포와 포장수준의 가장 중요한 해충과 질병의 발생정도를 비롯하여 점진적인 관리옵션의 도입과 연구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모니터링에서 일부 외래깍지벌레와 붉은 진드기가 주요 재배지역에서 개체군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발생률이 70%54%에 달하였다.

 

카사바빗자루병(CWB)은 침투성의 phytoplasma 질병으로 64%의 포장에서 보고되었고 감염수준은 32±2%이었다. 비록 모든 병해충이 토종이 아니지만 작부체계 강화의 촉진, 기후변화 증가와 변동성 및 곡물농업의 결핍이 조직 활성과 작물감수성 모두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측되었다.

 

국내에서의 카사바와 관련된 최근의 연구동향을 보면 캄보디아 MH에탄올 카사바농장의 토양 특성을 비롯하여 바이오에탄올의 원료-열대작물 카사바의 대규모 농장과 전망 등 산업차원의 활용방안이 집중되었으나 본고에서 언급하고 있는 병해충관련 연구는 아직까지 조사된 바 없으므로 향후 카사바 수입에 대비한 각종 병해충 침입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저자
I. Grazios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72()
잡지명
Pest Managemen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71~1089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