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형상부품에 적용이 가능한 소결접합 기술의 진화
- 전문가 제언
-
○ 세라믹스 구조재는 각종 에너지 기기, 항공·우주산업, 산업기기 등으로 확대되면서 형상도 복잡하고 대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상이 복잡하면서 대형인 세라믹스를 만드는 기술이 최근에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 기술은 목표 제품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서 각기 따로 성형하여 소결한 후에 접합하여 제조하는 기술이다.
○ 세라믹스가 가진 우수한 특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세라믹스-세라믹스가 단단하게 결합된 신뢰성이 높은 접합체를 제조할 필요가 있다. 세라믹스 끼리 접합하는 기술을 대별하면 접착재 접합 (Adhesive joining), 경납땜(Brazing)접합, 고상결합(Solid-state bonding), 기계적 접합, 용접, 주조 결합(Cast bonding) 등이 있다. 세라믹스 끼리를 접합함으로써 대형?복잡한 형상인 세라믹스 부재를 얻을 수 있는 접합?일체화를 핵심기술로 하는 제조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 이 문헌은 세라믹 접합에서 소결접합 방법인 경납땜을 이용하여 각 종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예로 소결 부품용 경납땜 재료는 Cu-Ni-Mn를 개발했다.
○ 일본에서는 세라믹스 접합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NEDO의 지원 하에 2009-2013년까지 접합?일체화공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특히 대학에서는 핫 프레스 또는 활성금속(Ti 등)법에 의한 SiC 접합기술이 많이 연구되었다.
○ 국내에서의 접합기술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비철금속 특히 Al 합금에 대한 것이다. 주로 재료연구소나 한국기계연구원 등에서 세라믹 접합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향후 세라믹스-금속과 같은 이종재료 접합기술, 박막접합 또는 나노코팅 기술에 의한 혁신기술이 주목받을 것이다. 또한 접합기술은 3차원 조형기술 발전에 따라 세라믹스의 수요가 더욱 확대될 것이다. 국내는 세라믹 접합기술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앞으로 국제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서는 세라믹 접합기술에 관한 연구과제가 많이 수행되길 기대한다.
- 저자
- Daisuke Harimoto,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2016(188)
- 잡지명
- SEI Technical Review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4~59
- 분석자
- 김*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