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캐스팅 합금 ADC3의 특성 개선으로 시장 확대 시도
- 전문가 제언
-
○ 다이캐스팅에 사용되고 있는 합금재료는 많은 종류가 개발되었고 규격화되었으나 실제 양산되고 있는 합금 재료는 그 종류가 몇 개 안 되는 실정이다.
○ 최근에 유럽을 중심으로 새로운 재료가 개발되고 실용화되어 자동차의 하체부품이나 차체부품 등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재료와 다이캐스팅 기술을 조합시켜 새로운 용도로 개발되고 있다.
○ 자동차를 경량화 하여 연비를 향상시키고 지구의 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동차를 경량금속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합금의 사용을 늘려야 하며 실용금속 중에서 고강도도 필요하나 고인성도 고려한 새로운 합금의 개발이 필요하다.
○ ADC3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목적으로 일본의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합금 위원회에서는 2008년부터 활동을 시작하였다. 그 개요를 여기에 소개하였다. 개발과정에서 파단 칠층과 게재물에 의한 결함이 연신율 저하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여 그 대책을 강구하였으며 이 대책은 타 합금 사용에도 대단히 유용하다고 본다.
○ ADC3(KS규격으로 ALDC3)는 Al-Si-Mg계 합금으로 ADC12에 비해 Cu의 함량이 적고 Mg함량이 많다. 이는 기계적 성질과 내식성이 우수하고 주조성은 그다지 좋지 않으나 주조균열이 거의 없어 자동차 부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합금이다. 그러나 자동차의 강인부품으로 사용하기에는 연신율을 좀 더 높일 필요가 있는 합금이다.
○ 국내 2015년도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은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합금 설계에서 2016년에는 인장강도 200MPa, 연신율 4% 이상, 2017년에는 인장강도 230MPa, 연신율 6% 이상, 2018년에는 인장강도 250MPa, 연신율 8%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 계획은 ADC3의 기계적 특성에 해당되는 재질로 국내에서도 이 분야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저자
- Kitaoka Yamaj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57(3)
- 잡지명
- 素形材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6~24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