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웨덴의 적층제조(AM) 기술 채택

전문가 제언

이 문헌은 스웨덴에서의 AM(Additive Manufacturing: 적층제조)기술 채택을 분석한다. 데이터 셋은 최근의 스웨덴 AM 사용자(기업, 대학 그리고 연구소)의 대표로부터 구성한다. 저자는 다음 두 질문으로 조사한다. 첫째로, 무엇이 스웨덴에서 최근의 AM 애플리케이션인가? 두 째로, 무엇이 사용자의 AM 채택에서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일까?

 

회귀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얻은 조사결과는 (i) 사용자의 AM 애플리 케이션 선택에서 변화가 있고 대부분의 사용자는 RP(Rapid Proto- typing)을 넘어서 AM을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한다. (ii) 고전적 RP를 확장하고 또한 생산과 관리를 포함하기 위하여 회사의 결정을 적극 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두 요인이 있다. 이 두 요인은 다중 AM 기술 을 이용하고 이 결과의 실행을 토론한다..

 

AM 제작과정 순서는 3D 모델링, 절삭, 프린팅 그리고 끝손질인 가공 후 처리이다. 이 과정을 위해 모델링 기법, 프린터장비 제작 기술 그리고 필라멘트에 필요한 소재개발 기술이 그 요체이다. 국내의 현 상황은 이와 같은 기술은 초보단계로 고유기술은 아직은 없다. 소형 3D 프린터를 제작 판매하거나 중대형 프린터를 수입하여 판매하고 수입한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품을 주문제작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프린터를 판매하기 위하여 사용자를 위한 교육이 주업인 업체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가장 중요한 새로운 3D 모델링 알고리즘 개발과 새로운 소재개발기술 등은 우리가 시급이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AM 기술은 3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CAD 기술 표현기법으로 발전하여 와서 아직도 보완해야할 부분이 많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AM 기술을 스웨덴 기업의 채택여부와 관심여부를 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우리 기업이 AM 기술의 채택은 극히 최근의 일이다. 미국이 2013년에 4의 산업혁명의 생산방식이라며 대대적으로 채택함으로 국내의 기업(중소중견기업)대박을 터트리는 것으로 알고 AM 관련 사업에 경쟁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 연구와 같은 조사연구가 사전에 있었어야 하는데 몹시 아쉽다.

 

저자
Babak Kiania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40()
잡지명
Procedia CIRP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7~12
분석자
김*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