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2를 이용한 산화성 카르복시화에 의한 지방 고리형 탄산염 제조공정
- 전문가 제언
-
○ 카복실산과 카복실산 유도체 화합물의 수소화(환원)반응에서 이용되는 촉매에 관한 관심이 높아 최근 많은 연구내용이 소개되고 있다. 카복실산과 카복실산 에스터 화합물을 수소화 반응시키면 지방알코올이 되면서 부가가치가 매우 큰 공업원료 물질 또는 상용화학제품으로 전환된다. 특히 천연 식물기름을 원료로 하여 메탄올과 같은 합성연료는 물론 다른 화학원료를 생산함으로 석유대체물질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 카복실산과 카복실산 에스터 화합물은 각종 나무열매와 식물의 씨앗, 식물성 기름형태로 자연에 무한히 존재한다. 이들을 수소화 반응시키면 방향제, 의약품, 세탁제, 유화제, 윤활제를 비롯한 다양한 상용제품이 된다. 그러므로 석유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분야의 연구는 매우 중요하여 이들 물질을 얻기 위해 필수적인 다양한 종류의 균일 및 불균일 촉매에 관한 연구개발에 많은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중요하다.
○ 발명은 수용성 t-부틸 과산화물(물에서 TBHP 70wt%)과 이산화탄소(CO2)를 이용하여 산화성 카르복실화를 통해 식물성 기름과 같은 트리글리세리드원천을 포함하는 불포화지방유도체로부터 고-수율로 고-선택성의 지방 고리형 탄산염제조를 위한 한 단지 공정이며 특히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산업적으로 활용하며 대기조건의 손쉬운 공정으로 고수율로 지방 고리형 탄산염을 제조한다는 것이 기술의 특징이 있다.
○ 발명의 중요한 기술은 금속 살렌착물 촉매 상에서 사용하여 값싸고 풍부한 CO2를 이용하여 산화성 카르복실화를 통해 식물성 기름과 같은 트리글리세리드원천을 포함하는 불포화지방유도체로부터 고-수율로 고-선택성의 지방 고리형 탄산염제조를 위한 단지공정이며 특허의 범위는 촉매선택에서 반응물의 조성 및 반응조건 등 매우 폭이 넓고 다양하다. 우리나라 유사기술개발을 위해서 특허범위를 신중히 검토하여, 특히 새로운 형태의 촉매선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석유대체 화학제품의 제조기술에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COUNCIL OF SCIENTIC & INDUSTRIAL RESEARCH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06003
- 잡지명
- WO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0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