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폐기물 탄화로 목탄연료 생산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 방법인 무-산소 상태에서 느린 열분해로 목탄 수율을 극대화하고 있다. 아울러 최근 개발 중인 제조 기술로 무-산소상태에서 급속 열분해하는 방법을 산림과학원이 주축이 되어 추진 중이다. 목탄으로 활용 가능한 바이오매스 자원은 임산, 농산, 축산폐기물 및 도시 폐기물을 모두 합쳐 약 2,300,000toe에 이르지만 활성탄 생산용 원료 물질은 극히 일부 임산물뿐이다.

 

일반적으로 활용 가능한 활성 카본은 목재, 야자껍질, 리그나이트 및 석탄과 같은 천연재료로 만든다. 국내 활성탄 생산은 주로 목재, 갈탄 및 이탄을 원료로 사용하여 활성화제인 ZnCl2 H3PO4와 같은 약품으로 처리하여 건조, 활성화시켜 분말이나 입상으로 만든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소요되는 분야는 수-처리 부문이며 이의 활용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이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농업 고형 폐기물인 왕겨, 톱밥 및 나무껍질과 같은 산림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 재료를 흡착제 원료로 사용한다. 이러한 재료는 대량 수집이 가능하고 값이 싸면서 물리화학적 특성이 흡착제 재료로 잠재력이 있다. 흡착 프로세스의 경우 배출 폐기물로부터 유기물을 제거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활성 카본은 유기오염물에 대한 탁월한 흡착능이 있기 때문에 흡착제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

 

이 글에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은 비용의 최소화와 환경과 관련된 문제점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제품의 질과 양에서 최대화를 위한 탄화 프로세스의 최적화이다. 도시 고형폐기물 처리를 위해서는 복합 열분해/가스화기술들이 추천되고 있으며 가스분리 및 포집장치는 시민들의 환경 안전과 보건을 위해 설치하도록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저자
Christian Riuji Lohr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59()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514~1530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