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은피 추출물의 생물활성 화합물과 건강 유용성
- 전문가 제언
-
○ 커피 제조공정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은피를 열수 또는 알코올로 추출한 추출물이 항 당뇨 제품으로 당뇨병 예방과 치료의 능력이 있는 기능성 제품으로 효과가 인정되어 커피의 또 다른 잠재력을 지원 하는데 필요로 하는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국민 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국내 당뇨병 현황을 보면, 2010년 201만 9천 명에서 2015년도에는 251만 5천 명으로 5년 사이 25%가 늘었다. 당뇨병의 증가 원인으로는 고령화, 비만증가, 운동부족, 지방질 과다섭취, 스트레스 등이 곱힌다.
○ 국내에서는 남 등(2002)이 “커피 로스팅 정도에 따라 생화학적 성분 및 생리활성의 변화” 라는 논문에서 원두커피의 향과 생리활성 물질이 많이 들어있는 커피를 생산하는데 가장 좋은 로스팅 조건으로 200°C에서 15분간 하는 것을 추천하였고 안 등이(2014) 커피에 들어있는 클로로겐이 자유라디칼에 의해 야기되는 산화 스트레스 손상으로부터 췌장의 β 세포를 보호하여준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바 있다.
○ 관세청에 따르면 2015년도 원두커피 수입량은 11만 7천 톤으로 전년도 대비 14.85가 증가하여 그 규모가 6조에 육박한다. 1인당 커피 소비량은 1990년 1.23kg에서 2014년 3.84kg으로 3배가량 증가했다.
○ 수입한 생두커피는 전량 국내에서 가공하는 것으로 부산물인 은피의 생산량도 막대하다. 한편 원두커피를 가공하여 인스턴트 커피 조제품을 중국, 러시아 등에 수출물량도 1억 3천 달러에 달하였다. 이 은피 부산물을 가공하여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하면 부가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본다.
○ 따라서 앞으로 생 원두를 로스팅하여 판매하는 업체에서는 커피 부산물인 은피의 활용과 폐기물의 처리라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관심을 가지고 이 분야에 연구개발이 크게 전망된다.
- 저자
- Beatriz Fernandez-Gomez a, Adriana LezamaMiryam Amigo-Benavent , Monica Ullate , Miguel HerreroMaria Angeles Martin Maria Dolores Mes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6
- 권(호)
- 25()
- 잡지명
- Journal of Functional Foo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97~207
- 분석자
- 장*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