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용해성 미세침배열(microneedle, MN) 유래 실험관 내 약품방출의 용이한 평가시스템

전문가 제언

이 논문은 피부를 통한 기존의 약 전달방법이 주사요법의 경우 고통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어 MN와 중합체 필름을 이용한 간편한 방법과 MN에 탑재된 약의 방출 및 피부를 통한 전달능력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상품화를 겨냥한 표준명세서를 만들기 위한 테스트를 실시하여 파라필름을 이용한 잠재성 있는 실험결과를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서로 다른 MN 제제를 비교하기 위해 기존의 Franz세포를 사용하는데 대한 좋은 대안으로 보이며 MN 기술에 대한 산업계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 시스템이 품질관리 목적을 위한 표준화된 약이나 즉효성(active)물질 방출시험으로서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생산의 규모화가 어렵기 때문에 MN 피부용 패치(transdermal patch)의 상품화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MN 제품에 대한 규제표준이 없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규제가 없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이 필요한 대량생산 및 보급에 어려움이 있다.

 

생물학적 조직 샘플은 종종 이질적이고 불안정하고 또 얻기도 어렵다. 그리고 생물학적 재료는 가끔 법률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이들 생물학적 재료는 산업적 제제개발 또는 품질관리시험에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힘들다. 그리고 시험자체가 재현성이 없고 그 결과를 여러 실험실에서 공유하기 힘들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안은 생물학적 조직을 파라필름 같은 합성재료로 대체하는 것이다.

 

현재 일본을 비롯한 외국에서는 MN를 이용한 패치가 일부 상품화 되어 있으며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여드름 치료 및 미용목적으로 피부에 붙이는 패치형태의 MN 제품이 몇 개 회사에서 만들어져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획기적인 원천기술에 대한 발전은 미미한 실정이며 아직도 약 방출 및 제품생산을 위한 확립된 표준이 없는 실정이다.

 

저자
Eneko Larranet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497()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62~69
분석자
김*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