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소수성 코팅 및 그 내구성
- 전문가 제언
-
○ 오늘날 연잎 및 장미꽃 잎과 같은 천연 물질의 표면을 모방한 표면조도 형성 및 소수성 고분자 코팅을 조합한 초 소수성 코팅이 자기세정 및 결빙 방지에 우수한 효과를 발현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다. 그 응용분야 또한 건축 및 자동차용 유리, 자동차 차체, 직물 등의 자기세정 초 소수성 코팅에서 비행기 동체의 코팅까지 다양한 용도로 확대되고 있다.
○ 초 소수성 코팅의 실용화를 위한 관건의 하나는 마찰 등 사용 환경에 대한 내구성의 확보로서, 기재와 코팅 간의 화학적 결합 형성이 하나의 해결 방안으로, 특히 직물의 초 발수 코팅에 많은 진전이 이루어져 있다. 초 소수성 코팅의 실용화를 위한 또 다른 관건은 저 비용화로 소수성 고분자/실리카 나노입자 복합재료를 사용하는 스프레이 코팅이 하나의 방향이 될 수 있다.
○ 초 소수성 코팅의 향후 과제로는 현재 어느 정도 진전이 이루어져 있지는 외부의 자극에 의해 소수성/친수성 혹은 마찰 특성 등이 변화하는 스마트한 코팅기술의 확대 발전이다. 또한, 자기치유 초 소수성 코팅 기술의 확대 발전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과제로, 특히 금속의 내 부식성 초 발수 코팅에의 응용이 기대된다.
○ 최근의 주요 관련 연구결과로는 미국 RICE 대학의 Andrew Barron 교수팀의 고가의 유해한 fluorocarbon 계 화합물을 대체할 수 있는 스프레이 코팅 가능한 탄화수소 계 소수성 물질의 개발 및 미국 Rochester대의 추가적인 화학 코팅 공정 없이 나노·마이크로 수준의 레이저 패터닝 공정으로 금속 표면에 초소수성을 부여하는 기술의 개발이 있다.
○ 국내 관련 연구 활동으로는 단국대학교 화학과 안 용현 교수팀의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한 초소수성 복합화 필름 제조”, 동국대의 “초발수성 코팅용액 조성물 및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WO 2014027825 A1), 성균관대 한 진건 교수팀의 “플라즈마-나노 기술을 이용한 초소수성 박막 저온 증착” 등이 있다. 이밖에도 부산대 고분자 공학과, 나노 SD (www.nano-sd.com) 등에서도 관련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 저자
- N. Cohen, A. Dotan, H. Dodiuk & S. Keni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31()
- 잡지명
- Material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143~1155
- 분석자
- 박*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