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자력담수화에 대한 IAEA 국제공동연구활동

전문가 제언

지구상의 전체 수자원 대부분은 해수로 존재하고 있고, 실제 인간이 이용할 수 있는 지표수나 지하수는 전체 수자원 총량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변동과 경제성장에 따른 물수요 증가로 안정적인 물 공급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해수담수화(seawater desalination)는 무한한 수자원인 해수를 담수로 이용할 수 있어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강력한 대안으로 간주된다. 세계미래학회는 향후 해수담수화가 세계적으로 규모가 큰 산업 중의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담수화(탈염, desalination)는 물에서 염을 제거하는 것으로 현재 증발법, 막분리법, 전기분리법 등이 상용화되고 있다. 염 농도가 매우 높은 해수담수화에는 증발법과 막분리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해수담수화에는 막분리법인 역삼투법(RO: Reverse Osmosis)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해수담수화시설도 지구온난화 및 화석연료 고갈 등의 문제로 환경친화적인 에너지인 원자력을 이용한 해수담수화가 세계적으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 따라 IAEA(국제원자력기구)는 원자력을 이용한 해수담수화에 대한 새로운 기술개발을 위해 국제공동연구사업을 추진하였다. 이 글에서는 IAEA가 추진 중인 국제공동연구사업으로 나온 유망한 기술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증발법 방식에서 해수담수화 시장에서 두산중공업 등 세계1위 기업을 갖고 있을 정도로 세계 최고의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스마트 원자로(SMART: System-integrated Modular Advanced Reactor)는 인구 10만 규모의 도시에 해수담수화용 스마트 원자로 1기를 건설했을 때 전기 9와 물 4만 톤을 하루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IAEA 국제공동연구의 적극참여와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산학연의 유기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저자
I. Khamis,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394()
잡지명
Desalina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6~63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