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출성형 금형 내에서의 센서 응용기술

전문가 제언
플라스틱 사출성형은 전동식 사출성형기의 보급, 초고속 사출성형 및 초임계발포 사출성형 등의 새로운 성형기술의 등장과 금형의 초정밀 가공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렌즈, 광디스크 등의 광학 부품과 의료, 전자 디바이스 등의 정밀제품의 생산수단으로 그 용도가 넓어지고 있다. 새로운 성형기술은 새로운 불량 문제가 발생하여 성형기술자를 괴롭히고 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금형 내에서 일어나는 수지유동 거동 및 압력, 온도 분포 등을 상세히 계측해서 현상을 파악하고 해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대책을 수립,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산성을 떨어뜨려주는 성형 불량을 억제하여주는 방법으로 성형 현상의 계측기술 중요성이 강조 되고 있다. 생산 현장에서 성형품 검사공정의 합리화도 성형품의 제조 원가, 납기 단축이라는 면에서 중요한 해결 과제로 되고 있다. 기존의 계측 기술을 연마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다 새로운 계측 방법 및 센서 응용기술의 확립이 성형기술의 발전을 위해서 앞으로 점점 더 요구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의 자동차 및 의료기기 분야를 비롯한 정밀기기 부품 생산 부문의 상황을 보더라도 사출성형 기술에서 공정 모니터링과 제어는 아주 중요한 요소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센서기술의 발전은 이를 더욱 뒷받침 하여주고 있다. 사출성형 공정에 적용하고 있는 포괄적인 압전 센서기술과 모니터링 시스템의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개별적인 모니터링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 업체들도 많은 활약을 하고 있다. 사출성형 공정 중에 캐비티 압력을 측정하고 분석함과 동시에 공정 모니터링과 스크랩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사출 성형기술은 전형적인 융복합 기술이다. 소재기술, 공작기계기술, 센서기술 및 금형기술을 빼놓고 성형기술을 논할 수는 없다. 우리나라 공작기계산업도 상당한 기술 수준에 올라와 있는 만큼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초 공통기술 부문에서 한 차원 높여, 성형 공작기계가 중심이 되는 금형 및 센서기술의 융복합화로 공정 모리터링과 제어를 통하여 불량 없는 정밀 성형작업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자
Murata Yasuhik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81(5)
잡지명
精密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415~420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