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름개선용 고분자 화장품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출원: L'oreal)은 수용성 다당류의 히드록시기에 아크릴기 또는 메타크릴기를 결합하여 광중합개시제를 혼합한 수용액을 피부에 도포하고 광중합하면 거대 가교 고분자가 되면서 피부를 당겨 주름이 개선되도록 한 기능성 화장품이다.
○ 기능성 화장품은 미백제, 자외선 차단제, 주름 개선제의 기능을 하는 화장품이다. 주름 개선제는 본 발명과 같은 물리적/시각적 주름 개선제와 생화학적 주름 개선제가 있다.
○ 본 발명과 같은 고분자 피막에 의한 주름개선제로 MIT,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의 강수영씨를 포함한 연구팀은 polydimethylsiloxane 중 가교될 사이트(≡Si-H, ≡Si-CH=CH2로 추정)를 부여한 실리콘 고분자를 함유하는 크림을 가교반응(hydrosilylation)형 백금촉매와 혼합하면 가교반응을 하면서 피부를 당겨 주름이 안 보이는 효과가 있는 항주름 크림을 개발했다.
○ 피부노화는 내인성 노화와 외인성노화가 있다. 내인성 노화와 외인성 노화는 모두 진피층의 세포외기질의 구조적 변화로 생기며 엘라스틴의 변성과 콜라겐의 감소로 피부의 주름이 생긴다. 노화된 피부의 특징은 탄력저하로 인한 주름의 발생이다. 콜라겐의 대표적 분해효소인 MMP(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을 억제하고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천연물의 이용에 의한 주름 억제 방법이 있다.
○ 국내의 주름 개선과 관련한 연구는 제주대학 전유진 팀의 갈조에서 추출, 분리한 phlorotannin의 주름 개선 기능(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B: Biology, 162, 2016, pp.100-105)이 있다. 서울과학기술대 박수남 교수는 hyaluronic acid-hydroxyethylcellulose hydrogel 중에 감초 추출물로 미백 기능 등을 하는 isoliquiritigenin을 담지하여 경피투과성을 검토하였다(Carbohydrate Polymers, 147, 2016, pp.473?481). 이러한 개념을 주름 개선 기능을 하는 성분의 경피투과성 제형에 연결해 볼만하다.
- 저자
- L'OREAL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50793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1
- 분석자
- 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