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격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위성통신

전문가 제언

 ○ 인터넷은 단순히 컴퓨터 사이를 연결하는 수단을 넘어 모든 사물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스로 데이터를 수집·처리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사물인터넷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많은 응용에 있어 사물에 장착되는 센서와 구동기는 종종 기존의 지상 인터넷망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한다. 따라서 위성통신을 이용한 원격 사물인터넷(IoRT, Internet of Remote Things)이 중요한 해법이 될 수 있다.

 

IoRT의 두드러진 특성은 다양한 이질적 기기들이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것이다. 위성을 이용한 IoRT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질적 IoRT 네트워크 내에서 각각의 고유 프로토콜이 최적화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위성기반 IoT에 관한 주제로서 위성기반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맥 프로토콜(MAC, Media Access Protocol), 효율적인 IPv6 지원, 이종 네트워크의 상호운용성,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의 관리 및 그룹기반 통신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인공위성은 에너지, 물류, 재난 관리 등 일부 M2M 통신 응용에서 이미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세계 유수의 업체들은 위성을 이용한 초고속 인터넷 환경 구축에 많은 자원을 투입하고 있다. 구글은 비행풍선 수천 개를 띄워 글로벌 인터넷을 구축하는 프로젝트 룬(Project Loon)을 진행하고 있고, 원웹(Oneweb)은 2019년까지 648개 초소형 위성을 발사하여 각 지역 통신위성과 연결해 전 세계에 인터넷을 보급할 계획이다. 페이스북, 인텔샛 등도 위성인터넷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국내경우 IoT 서비스를 위한 최고 수준의 인터넷 환경을 보유하고 있지만 위성을 이용하는 원격 IoT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최근 ETRI가 20Mbps급 초소형기지국 및 단말기 통합 위성 시스템을 개발하고, KT샛을 통한 위성 LTE 솔루션을 개발하여 고속 해상위성통신사업을 강화하는 등의 성과를 내고 있으나, IoRT 실행 시나리오에서 인공위성 사용에 따른 잠재적인 이점에 대해 전반적으로 업계나 학계의 인식을 제고하고 관련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하다. 

저자
Mauro De Sanctis, Ernestina Cianca, Giuseppe Araniti, Igor Bisio, and Ramjee Prasad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3(1)
잡지명
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13~123
분석자
송*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