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라믹 제조에 공업용 페기물의 재활용 현황

전문가 제언

세라믹 타일이나 벽돌제조 공업에서 전래의 원료조합인 점토-장석-규석질 천연원료의 배합에서 대체될 수 있는 원료들을 연구하여왔다. 그 중 한 방법이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천연자원을 보존하고 재생원료로 사용코자 한 것이다. 본문에서는 타일의 조합을 재 배합하여 점토나 융제나 불활성 성분들은 포장재 폐유리를 재활용으로 60%이상을 대체하였고, 세라믹벽돌에서는 CRT폐유리와 포장재 폐유리를 배합하여 20%까지 대체 사용한 사례를 기술하고 있다.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은 전면 유리(panel)와 후면 유리(funnel) 및 넥(neck)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면 유리에는 바륨과 스트론튬 함량이 많고 후면 유리는 2025% 납을 함유하고 있다. CRT 유리는 콘크리트 블록, 점토 벽돌, 경량 발포 세라믹, 타일, 유약, 인조대리석, 유리섬유, 글라스 비드, 병 유리, 판유리에 활용하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성공적인 상업화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CRT 유리는 대량으로 소비될 수 있는 분야는 벽돌, 발포유리, 타일 등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의 유리생산 통계를 살펴보면 병 유리생산이 63만 톤/2014, 판유리생산 87만 톤/2013, 식기, 주방유리 생산이 3만 톤으로 총생산량은 약 153만 톤이 생산되고 있다. 병 유리의 경우 폐병유리 회수율은 약 50%에 달하고 있으며, 거의 모두 판유리와 병 유리 제조에 원가절감하기 위하여 총 원료의 60-70%를 대체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폐유리를 원료로 대체하는 단순한 재사용을 벗어나서 새로운 재활용분야를 개척 할 필요가 있다.

 

외국에서는 폐유리 재활용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1990년대부터 도로포장용 벽돌, 유리아스팔트, 건자재용 골재, 흡음판재, 방음 벽재 등의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향후 고부가가치의 제품개발에 꾸준히 연구하고 상업화가 되도록 노력하여야 하겠다.

 

저자
Fernanda Andreola n , Luisa Barbieri, Isabella Lancellotti, Cristina Leonelli, Tiziano Manfredin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42()
잡지명
Ceramics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3333~13338
분석자
강*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