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경제성장, 석유가격의 영향 및 원자로 표준화의 편익: 원전건설 기간 재고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과거에 석유가격 상승이 원자력에너지 소비에 상당한 충격을 미치지 않았음이 발견된 반면 지속적인 석유가격 상승은 원전 건설의 속도에 상당히 영향을 미쳤다. 201511일 현재 전 세계적으로 67기의 원자로가 건설 중에 있으며 95기의 계획에 있는데 대부분은 중국 및 러시아에 해당된다.

 

상대적으로 장기간 예상되는 건설기간에 추가하여 대형프로젝트는 악명 높은 지연 및 상당한 비용 초과 모두에 의하여 특징지어진다. 높은 회수율은 이 위험 프로젝트의 빚 및 자기자본 모두를 요구하기 때문에 발전 비용은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의 도매가격이 투자비를 갚을 수 있는 요구되는 수준 아래로 떨어진다면 그 프로젝트는 재정적 실패로 판명될 수 있다.

 

원자력발전소는 높은 경제 성장 기간 중 상대적으로 빠르게 건설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시에 경제적 침체는 건설기간 및 투자의 경제적 생존능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가정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건설 시작 후 한 나라에서 5-앞선 경제 성장의 연간 평균을 도입하였으며 이것은 한 나라의 경제 개발 및 조건의 양호한 지표이다.

 

표준화 전략은 대규모로 원자력을 추진하는 어떤 나라에서든지 미래에 있어서 주요하게 될 것이다. 동시에 정부지원프로그램, 약속, 또는 탄소 가격은 자유 시장에서 수익성 있는 선수가 되기 위하여 원자력에너지를 위하여 필수적일 수 있다. 자명하게 폐기물 처분을 위한 해법 찾기 및 잠재적 확산의 의문을 소개하는 것은 계속되어야할 문제이다.

 

원자력발전에 참여할 것인지 또는 재배치 할 것인지의 수많은 결정은 분야의 이익성에 의존할 것이며 예상 건설 기간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다. 우리나라도 원자력 발전의 역사를 돌이켜 기술적 접근과 환경적 건설에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산업의 균형적 발전을 위하여 상호 보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
Zsuzsanna Csereklyei, Paul W.Thurner, Alexander Bauer, Helmut Kuchenhoff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91()
잡지명
Energy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9~59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