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 재료와 미세 유체-기반 3D 종양모델의 평가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 사람의 기대 평균 수명, 특히 여자의 평균 수명은 세계 3위로 높아진 것으로 세계 보건 기구는 발표하였다. 이러한 수명의 연장은 생애 중에서 암을 비롯한 각종 질환의 증가와 이에서 유래되는 의료비의 증가를 동반하게 된다. 특히 연령의 증가는 면역의 저하를 동반하여 연령에서 암의 발현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서 암의 치유에 대한 보건학적 요구가 증가함과 동시에 치료와 관련된 항암제와 관련 시장은 큰 경제적 이해 관계가 수반되어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서 소개하는 최신 연구 기술은 3D 기반 종양모델에서 사용되는 바이오재료들의 성상과 특성들에 관한 평가에 관한 최신 연구를 리뷰한 것으로 암 연구와 관리에서 핵심이 되는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3D 기질을 사용하는 실험관 내 암 모델은 암 생물학의 새로운 측면을 지속적으로 규명해오고 있으며 이 체계에서 보다 자연적 미세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바이오재료의 선택에 관한 최신 연구들을 소개하고 있다. 암 치료에서 바이오재료공학 기술은 앞으로 그 중요성이 증가될 것으로 평가된다.

 

바이오 관련 시장 예측사인 Global Information의 전망에 따르면 전체 3D 세포 배양 시장에서 암 연구 및 치료 분야의 3D 세포배양 시장이 약 40%, 약제 및 독성 스크리닝 시장이 약 3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3D 배양의 관련 장비, 소모품 및 최종 사용자 등을 포함한 시장은 2015년에 114억 미불 정도이며, 20152020년 사이의 연평균 성장률은 10.5%으로 2020년에는 약 186억 미불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항암 치료제 스크리닝과 관련하여 바이오재료 분야는 암의 해결이라는 보건학적 측면 이외에 큰 경제적 부가가치를 갖는 신생기술 분야이다. 따라서 관계 전문 연구자들에 의한 연구의 활성화는 물론 국가적으로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집중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맞춤형 항암제 선택을 위한 가장 적합한 바이오재료의 선택은 성공적인 3D 배양기술을 위하여 우선적인 과제가 되고 있다.

 

 

저자
Mariana R. Carvalho, Daniela Lima, Rui L. Reis Vitor M. Correlo and Joaquim M. Oliveir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33(11)
잡지명
Trends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67~678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