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방사성폐기물 지층처분시설의 시멘트 충전물을 통한 니켈의 용해 및 이동 특성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에서는 국내 최초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인 지하동굴 처분방식의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장이 10만 드럼 처분을 목표로 작년부터 운영에 들어갔으며, 2019년까지 표층 처분방식으로 12만5천 드럼을 처분할 수 있는 2단계 시설관련 공사가 계획되어 있다. 아울러,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 2028년까지 부지를 선정하고, 방사성핵종의 생태계 유입이 제한되도록 방사성폐기물을 지하 깊은 곳의 안정된 지층구조에 영구 격리하는 처분시설을 2051년까지 건설·운영한다는 방안이 정부에 제출되어 있다.

 

이러한 방사성폐기물 지층처분장에는 고체 및 액체 폐기물을 둘러싸는 능력을 지녀서 투과성을 저감시키고 폐기물 구성성분의 용해도를 제한시킬 수 있는 화학적 조건들을 만들어내는 다중방벽 시스템이 요구되며, 특히 중저준위 폐기물 처분을 위한 폐기물 포획과 충전물 용도로 일부 유럽 국가들이 시멘트를 사용하고 있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내에는 원자력시설 운전 중에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셀룰로오스 물질들도 함유되어 있어서 처분시설 환경 내의 높은 pH 조건 하에서 분해생성물들을 만들어내고 이와의 착화에 의해 59Ni 및 63Ni 같은 방사성핵종들의 용해도가 증가되거나 시멘트 상으로의 흡착이 방해될 수가 있다.

 

본문에는 시멘트 재료가 포함된 중간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근접 지역에서 예상되는 알칼리 조건 하의 Ni 용해도와 결정도 영향 및 이류(advection, 移流) 조건에서의 Ni 확산·이동속도 변화 등에 대한 연구결과가 제시되었다.

 

방사성폐기물 지층처분시설의 시멘트 충전물을 통한 니켈의 용해 및 이동 특성에 대한 본 연구내용은 국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지층처분시설 다중방벽 중의 하나인 화학적 방벽의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중요한 화학·공학 기술정보들을 제공할 것이다.

저자
M. Felipe-Sotelo, J. Hinchliff, L.P. Field, A.E. Milodowski, J.D. Holt, S.E. Taylor, D. Read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314()
잡지명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11~219
분석자
성*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