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어린이 영양결핍과 장내 미생물군의 상관관계 및 이들 미생물에 의해 유도되는 질병치료

전문가 제언

현대의학이 심각한 질환을 가진 사람의 사망률을 감소시키는데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의 영양결핍에 의한 질환발생은 글로벌 건강의 주요 이슈로 여전히 대두되고 있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장기간에 걸친 영양결핍으로 인한 후유증에 대한 마땅한 치료방법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발육부진, 면역 기능장애, 신경인지력의 결함 등은 이러한 후유증의 결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치료방법이 아직 마련되지 않아 이로 인한 질환자들이 매우 고통을 받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의 통계에 따르면 5세 이하 어린이들의 약 40%이상이 영양결핍으로 죽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약 5천만 명 이상의 어린들은 급성 영양결핍에 노출되어 있으며, 영양상태가 심각한 상태의 미취학 어린들은 영양상태가 좋은 어린들에 비해 사망률이 10배 이상 높다는 것이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들 질병들의 원인은 사람의 장내 미생물군(gut microbiota)의 생장이상이 주요 원인이 된다는 사실들이 전임상 시험을 통하여 입증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질병들의 치료 및 예방과 관련된 새로운 개념에 대한 임상적 검증방법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 이들 연구자들은 이러한 질병발생과 연관된 반응기작에 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집중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설명되고 있는 반응기작의 초점은 장내 미생물군의 생장조절에 맞추어져 있다. 그 이유는 장내 미생물군의 정상적인 집단구성과 이들의 성숙단계에 따른 기능조절은 숙주의 대사조절시스템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영양 상태에 따른 장내 미생물군의 생장상 변화는 특정 질병유발의 징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학문적 근거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질병의 방어를 위해서는 사전예방과 치료방법의 개발이 종합적으로 요구된다. 전자는 공공교육(식생활 습관 등) 등을 통한 질병원인에 관한 폭넓은 인지캠페인의 전개를 통하여 가능할 것이며, 후자는 영양결핍과 장내 미생물군의 생장상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함으로써 치료용 미생물의 탐색연구가 필수적이라 사료된다.

저자
Laura V. Blanton, Michael J. Barratt, Mark R. Charbonneau, Tahmeed Ahmed, Jeffrey I. Gordo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352(6293)
잡지명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00935901~00935906
분석자
정*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