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암면역성 제고를 위한 바이오물질들

전문가 제언

암의 치료에서 전통적인 방법의 하나인 방사선 조사 방법은 각종 세포들의 비특이적인 사멸에서 초래되는 독성의 증가와 전신 면역성의 저하 등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근래 암치료 추세는 면역치료 방법의 도입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는 면역치료 방법은 환자에 따라서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어 한계성을 보인다. 따라서 바이오재료를 사용하여 면역 조절작용을 안전하고 기능성을 높이는 전략을 사용한다. 이러한 전략을 환자치료에 신속히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들 바이오재료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면역조절 발판을 피하에 접종하는 방법, 림프노드를 통하여 나노입자 백신을 빼내는 방법, 종양 미세환경에서 면역세포의 접종과 작용 증진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면역세포와 암 백신 등의 작용을 높이기 위한 연구들이 외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보다 안전하고 장기적으로 작용하는 전달 체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국내에서도 여러 연구진들이 이 분야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분야의 최근 연구 사례로서 영남대학교 김종오 연구팀이 항암 효과가 높고 부작용이 적은 나노입자를 개발하여 국제 학술지에 발표한 바 있다. 이들은 암세포에 존재하는 효소 억제제를 정전기적으로 결합하여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를 만들었다. 생체친화성 지질막으로 특수하게 코팅 처리한 다음 체내에서 효과적인 약물 전달 방법을 개발하였다(Chemical communication, April 2015).

 

현재 국내의 질환 중에서 암은 치료비, 환자 수 등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어, 효과적인 암 치료 방법의 개발은 국민 보건의 향상은 물론이고 의료비 절감과 경제적, 사회적 파급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유망한 암백신의 개발은 물론이고 개발된 백신이 보다 천천히 효과적으로 면역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전달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면역학자, 재료화학자, 그리고 임상의학자 간의 긴밀한 협조체제의 수립과 효율적인 연구 수행이 필요하다.

저자
Sandeep T Koshy and David J Mooney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40()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8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