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 온실에서의 태양에너지 이용
- 전문가 제언
-
○ 이 자료는 농업용 온실에서 태양광발전(PV)을 이용하여 냉방, 난방, 조명 및 물 공급 등을 위해 사용되는 전력을 생산하는 경우를 분석하고 있다. 농업용 온실에 태양에너지 이용 장치를 사용하면 투자비 회수기간이 길지 않고 이용하기에 편리하며 또한 깨끗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의 보급을 권장하고 있다.
○ 또한 PV를 관개시스템의 물 공급에 이용할 경우는 전력망과의 거리, 물 공급원의 높이, 물 저장방법 등이 태양광발전 이용의 경제성에 중요한 요소들이며 또한 높은 습도와 농업화학제품의 사용이 온실지붕에 설치된 PV시스템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데 이들 요소들을 사용하여 관개시스템용 PV의 경제성을 분석하고 있다.
○ PV시스템은 아직까지 가격이 높아 농업용 온실에 사용하기에는 비용이 높은 실정이지만 기술 발전과 대량 보급을 통해 PV시스템 가격이 하락하고 있어 곧 디젤발전기 등과 경쟁이 가능한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송전망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벽지나 농촌지역에서는 독립형 PV시스템을 활용하면 여러 가지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우리나라에서도 농업용 온실의 전력원으로 PV시스템을 활용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전력망이 잘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일부 도서지역과 벽지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농업용 온실에서는 전력망 전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 개발도상국의 경우는 전력망이 잘 갖추어져 있는 경우가 드물어 농업용 온실에서는 디젤발전기 등을 사용하고 있다. 농업기술의 발전과 온실의 대형화로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데 앞으로 온실용 독립형 PV시스템의 보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형 농업온실용 PV시스템을 개발하여 이와 같은 새로운 시장에 대응해나갈 필요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 저자
- Reda Hassanien Emam Hassanien, Ming Li, Wei Dong Li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5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989~1001
- 분석자
- 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