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태양광발전(PV) 개발현황
- 전문가 제언
-
○ 인도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면서 경제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에너지 공급을 위해 친환경 에너지 즉, 재생에너지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 이를 위한 종합적인 계획으로 2020년까지 에너지 소비를 20% 감소시키고 재생에너지 이용비율을 20%까지 증가시키는 목표를 정하고 있다. 특히 2050년까지는 재생에너지 이용비율을 70%까지 높이기 위한 장기목표를 추진하고 있다.
○ 인도의 현재 실정을 감안하면 이러한 야심적인 계획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겠지만 자원 고갈을 대비하고 환경오염을 극복해야 하는 오늘날의 과제를 정확히 인식하고 장기적인 국가목표를 설정하여 추진한다는 점은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는 그동안의 재생에너지 개발정책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재생에너지 이용비율이 3% 수준에 머물고 있는데 최근에는 재생에너지 이용증가율이 침체되어 있어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국가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30년까지 현재추세 대비 37% 감축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지만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태양에너지 등 재생에너지 개발을 장려할 수 있는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 우리나라는 이미 경쟁력 있는 태양광발전 산업을 구축해놓고 있지만 태양광발전의 국내 보급 및 관련 제품의 수출에서는 충분한 성과를 올리지 못하고 있다. 인도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위치해 있고 넓은 국토면적을 가지고 있어 태양에너지 잠재력이 매우 높은 국가이며 또한 야심적인 태양에너지 이용계획을 가지고 있어 우리의 수출시장으로서의 잠재력이 높은 국가이다. 이 자료는 우리나라의 관련 산업이 인도의 태양에너지 시장에 수출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 특히 개발도상국인 인도의 경우는 독립형(분산형) 태양광발전의 보급에 좋은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동남아 및 아프리카 등도 인도와 비슷한 조건을 가지고 있어 잠재적인 분산형 태양광발전 시장으로 기대되고 있다.
- 저자
- Sarat Kumar Saho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59()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927~939
- 분석자
- 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