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콜로이드성 CH3NH3PbX3 양자점: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의 유망재료

전문가 제언

최근 양자점 TV(액정표시장치와 광원(백라이트) 사이에 양자점 필름을 끼워 넣어 더 선명한 색상을 구현한 TV)가 상업화된 가운데, 양자점 발광다이오드(QLED)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대신하여 미래 디스플레이기술의 대세가 될 것이라는 전망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넓은 영역의 파장에서 색상변화가 가능하고 선명한 색상을 나타내는 유기할로겐 화합물인 페로브스카이트 CH3NH3PbX3 양자점이 QLED 기술발전의 유망소재로 떠오르고 있다. 이 분석물은 이 소재의 새로운 합성법과 성능평가에 대한 것을 소개하고 있다.

콜로이드성 CH3 NH3PbX3 양자점의 새로운 합성법, LARP(리간드에 의한 재침전기술)는 경제적이고 대량생산 체재로 용이하게 갈 수 있는 기술로 주장되고 있다. 따라서 실용성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가성비의 측면에서 콜로이드성 CH3NH3PbX3 양자점은 상당한 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소식에 의하면 세계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국내기업이 머지않은 장래에 QLED기술을 실용화하기 위한 준비 작업에 들어갔다고 한다. 그렇다면 콜로이드성 CH3NH3PbX3 양자점 기술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는 피할 수 없을 것이고 병행하여 전무기질 페로브스카이트와 칼코겐 화합물에 대한 타당성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칼코겐 화합물과 함께 유기할로겐 화합물인 페로브스카이트를 발광 다이오드에 응용하는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들의 활약이 괄목할 만하다. 서울대, 포항공대, 경희대, KIST등을 중심으로 기술을 선도하는 새로운 연구논문들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차세대 먹거리로서의 QLED개발이라는 관점이라면 상업적인 개발주체가 중심이 되는 집중적인 프로그람이 기획되어야 할 것이다. 암암리에 QLED의 실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이러한 프로그람이 진행되고 있을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저자
Feng zha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9(4)
잡지명
ACS Nano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533~4542
분석자
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