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플렉시블 스마트 기기용, 나노결정 잉크로 인쇄된 투명전극

전문가 제언

본 분석물은 나노결정 잉크를 이용하는 차세대 투명전극의 기술발전과 최근의 동향을 정리한 것이다. 금속 산화물, 금속 나노선, 그래핀, 탄소나노튜브와 그들의 하이브리드 잉크에 대한 내용이 소개되고 있으나 금속산화물 부분은 차세대 기기라는 관점에서 생략하였다는 것을 밝혀둔다.

 

본분에서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고 결론과 향후 전망 부분에서 개개소재의 기술발전이 지속적으로 경주되고 있다는 것을 상기시키고 있으나 본문에 이미 이 기술이 가야하는 방향을 하이브리드 필름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2.5 하이브리드 필름과 투명전극에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하나의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나노결정 잉크의 성능은 상업적인 응용에서 요구하는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중략) 최근에 발표되는 연구논문들이 시사하는 점은 하이브리드 필름의 용액가공이 매우 유망한 개념이라는 것이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집중적으로 조명해 보면 국내 연구진들의 활약을 들여다 볼 수 있다. 본문에 소개되고 있는 연구논문들, 탄소나노튜브/은 나노복합재료(참고문헌 81), 그래핀/금속 나노선 하이브리드(83), GO나노시트/금속 나노선 하이브리드(84), 은 나노선 표면에 금속산화물 완충층의 도입(85)이 모두 국내연구기관에서 발표한 것이다.

 

용액기법이 개념적으로 최종 해결책으로 보이긴 하나 그 이전에 해결해야 할 기술적인 문제들이, 예를 들면 소재, 잉크, 기기통합 기술 등에 산재해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본격적인 실용의 시대를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그곳으로 가는 과정에서 중간적인 해결책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필자의 최근 분석물(2016.5) “그래핀/금속 나노선/플라스틱 필름의 롤두롤 연속제조공정”을 참고하기 바란다.

 

저자
Jizhong Song and Haibo Ze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54()
잡지명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760~9774
분석자
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