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렉시블 전자기기용, 고분자 기질에 직접 인쇄, 기록된 은 미세패턴의 특성
- 전문가 제언
-
○ 본 분석물은 최근 차세대 광전기기 기술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투명전극을 보다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고분자 기질 위에 직접 은 나노입자 미세패턴을 인쇄, 기록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3차원적인 미세패턴은 로봇을 이용하는 필라멘트 인쇄법으로 만들어 지며, 잉크제조의 수율이나 인쇄공정의 개선을 통한 경제성 향상이 주 내용이다.
○ 은 나노입자 미세패턴이 리소그라피 공정없이 인쇄에 의하여 3차원적으로 정교하게 형성된다는 것과 이러한 미세패턴이 인쇄공정의 최적화를 통하여 전기전도성이 매우 우수하고 광투과율이 80%이상인 특성을 가진다는 것이 매우 인상적이다.
○ 그러나 이 분석물에서 이야기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는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다름 아닌 이 미세패턴의 장기적인 특성의 안정성 문제이다. 은 나노입자의 미세패턴을 외부와 차단하지 않으면 산소와 습기에 의한 영향 때문에 최초의 특성을 유지할 수가 없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 최근의 차세대 투명전극의 기술발전을 살펴보면 그래핀과 은 나노선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많이 이야기 되고 있다. 전기적인 특성은 상승작용으로 대폭 향상되고, 은 나노선은 그래핀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는 것이 이 시스템의 특징이다(필자의 최근 분석물(2016.5) “그래핀/금속 나노선/플라스틱 필름의 롤두롤 연속제조공정”을 참조).
○ 국내 연구진의 이 분야 참여는 미미한 것 같다. 다른 방법에 의한 투명전극의 개발이나 은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에 관해서는 기술발전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직접 기질 위에 미세패턴을 인쇄, 기록하는 연구는 찾을 수가 없다.
○ 그러나 차세대 디스플레이기술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본 분석물의 내용에 대한 벤치마킹은 꼭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Maria A. Torres Arango,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596()
- 잡지명
- Thin Solid Film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67~173
- 분석자
- 최*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