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요인분해분석에 의한 Baltic 국가의 GHG 배출량 감소의 가능성 분석

전문가 제언

2012Annex 1 국가의 온실가스 집약도(0.32kgCO2/US$)가 비Annex 국가보다 매우 적고 경제도 성장되어 탈동조화가 이루어져 GHG 배출규제정책의 타당성이 입증되었고, 2014년과 2015년 세계경제는 3.4%3.1%씩 성장하고, 에너지 부문의 CO2 배출량이 2013년부터 3년 연속 32.1Gt-CO2/y를 유지하여 신재생에너지 사용 증가가 경제성장과 CO2 배출량 감소의 탈동조화의 주동인이 되고 있다(IEA, 2016).

 

- 세계적으로 19712013년간 1차 에너지 소비량은 150% 증가하였으며, 화석연료의 비중은 86에서 82%, 비 화석연료는 14에서 18%로 화석연료가 절대적이었으나, 2015년 신규 발전량의 약 90%가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 이루어져 신 기후체제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본 연구는 Baltic 국가(Latvia, Lithuania )EU “20-20-20“(2020까지 에너지 효율 20% 향상, 신재생에너지 20% 증가, GHG배출량의 1990년 대비 20% 감축)의 이행 가능성을 20042012의 실적을 기준으로 Kaya항등식 적용 요인분해 분석한 것으로, 각국은 1인당 GHG 배출량 10% 증가, GHG배출계수 0.23.5% 감소, 에너지집약도 1318% 감소와 GDP 30% 증가되었으며 어떤 탈동조화도 일어나지 않았으며 목표의 조기 달성이 예측되었다. 이들 국가는 신재생에너지의 할당 증가보다 에너지 효율향상 정책이 목표달성에 효과적인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는 2014년까지 10년간 GHG배출량이 연평균 3.6% 증가한 반면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율은 20091.07%에서 20133.8%로 별로 증가되지 않았다. 20042010년간 제조업의 GHG배출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에너지집약도는 1990년과 같은 0.253toe/100만 원이었고, CO2 원 단위는 0.64tCO2e/100만 원이었다. 한편 2012CO2 원 단위는 0.42kgCO2/US $로 세계 평균 0.38, OECD 평균 0.31kgCO2/US $보다 상당히 높았다.

 

- 아직은 저탄소녹색 성장이 실천되지 못하고 GHG배출량을 증가시키고 있다. 오존 등 예측과 같이 신재생에너지 자원 지도를 정밀하게 보완하여 많은 자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저자
Dalia Streimikiene, Tomas Balenzenti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58()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08~1113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