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미세조류 배양의 장애 제거방안
- 전문가 제언
-
○ 미세 조류 기반의 바이오에너지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미래의 에너지로 간주된다. 수십 년 간의 연구로 미세조류를 대규모적인 상업적 바이오에너지로 자리매김하는데 극복하여야 할 장애가 있음이 알려졌다.
○ 이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바이오에너지를 상업적으로 대규모 생산하는데 장애가 되는 병목현상을 “고비용”과 “저효율”로 요약하고, 세부 사항을 적시하였고, 병목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몇 가지 해법을 제시하고, 검토하였다.
○ 이 연구에서 제시한 해법에는 폐수에서 배양하고 물과 영양분의 재순환, 미세조류의 혼합 종을 배양하고, 대사경로를 최적화하고 세포를 현수 고체(suspended solid) 배양기에 부착시키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더욱이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대규모 미세조류 배양을 폐수처리와 연계하여 현수 고체 바이오 배양기에 저비용 기질에서 배양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도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연료화 연구개발에 대한 학술논문이 다수 발표되었고, 실용화 연구로는 바이오에너지 대형 국책 연구단을 중심으로 미세조류 바이오연료 연구개발이 시스템 수준에서 추진되고 있다.
○ 카이스트 (재)차세대 바이오매스 연구단은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 프론티어 사업지원으로 이산화탄소의 효율적인 전환과 유기성 자원의 동시 이용기술을 기반으로 미세조류 바이오연료 전 과정{미세조류 선별, 대용량 배양, 수확, 추출, 바이오연료(디젤, 항공유, 에탄올, 바이오가스 전환, 부산물 활용, 고부가가치 화학원료 생산, LCA 등)}을 연구하고 있다. (기간: 2010-2019, 참여 인력: 약 300여 명/년, 총 예산: 1,065억 원, 참여기관: 카이스트, 경북대, 부경대, 부산대, 서울대, 연세대, 충남대, 포항공대, 한양대, 포항산업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주)SK이노베이션, (주)SK케미컬, (주)NLP, (주)클로랜드 등).
- 저자
- Tian-Yuan Zhang,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60()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602~1614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