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제품 생산을 위한 미세조류 재배에 축산 폐기물 퇴비 이용: 가능성 확인
- 전문가 제언
-
○ 이 탐색연구는 인간이 존재하는 한 축산 폐기물이 존재하므로, 그리고 그것은 증가 추세에 있으므로, 이로 인한 환경오염과 자원 고갈에 대한 해결책에 대한 연구는 점증하는 추세이다. 이에 대한 새로운 지속가능한 대안으로 미세조류의 배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기존의 식량자원 및 기타 바이오 연료와 경쟁을 하지 않는 새로운 유형의 신재생 에너지원이 되기 때문이다.
○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실제 가축 폐기물을 이용하여 그 효과성을 본격적으로 탐구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외국에서도 단편적으로 대규모 회사의 요청으로 돈사 폐기물, 가축 공장 폐기물 등을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생산하는 연구는 있으나, 아직 경제성을 입증하지 못하고 있는 단계에 있다. 본 연구는 미세조류 재배의 다양한 요소를 제시하며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실제적인 기초를 제공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 세계적인 정유회사인 엑슨모바일, 쉘, 쉐브론, 코노코필립스 등은 최근 미세조류의 연구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이는 바이오 연료의 엄청난 잠재력에 눈을 돌리는 동시에, 그들이 운영하고 있는 기존의 정유시설(refinery)을 미세조류의 정유에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소규모 회사가 이에 투자할 수 없는 이유는 미세조류 바이오 연료 개발은 단순하지 않아 수십년이 걸릴 수 있고, 성공의 보장도 없기 때문이다.
○ 국토가 협소하고 인구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가축분뇨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녹조 등과 같은 수자원의 오염이 절실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정유산업이 매우 발달되어 있어, 미세조류 연구에 적합한 환경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미세조류 산업은 축산분야와 정유 산업이 결합하여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는 창조경제의 한 분야로도 볼 수 있다.
- 저자
- L.-D. Zhu, E. Hiltune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5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285~1290
- 분석자
- 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