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분자 성분 프로그램을 사용한 지카 바이러스의 신속, 저비용 탐지

전문가 제언

지카바이러스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2013년까지는 말레이시아, 남태평양의 섬들에서 매우 낮은 수준으로 유행하고 있었으나 2014년 남미 대륙으로 이동하면서 세계적인 관심을 끌게 된 신종 바이러스이다. 따라서 이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특이하고 현장 적용이 쉬우며 감도가 높은 진단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 논문의 저자들은 동결건조, 종이 기반, 무세포 단백질 발현 플랫폼을 사용하여 남미 대륙의 오지에 배치하여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고 감도와 특이도를 확인하였다. 동일 속(genus)에 속하는 뎅기열 바이러스와 다른 과(family)에 속하는 lentivirus를 대조로 하여 제품을 평가하였다. 개발된 지카바이러스 진단제품은 다른 유사 바이러스와의 교차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현장에서 저전력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실용가치가 인정되었다.

 

지카바이러스의 진단과 역학 조사에서 특별히 유의해야 할 점은 플라비바이러스의 높은 불현성 감염률과 혈액 내 바이러스의 일시적인 존재이다. 즉 과거 1950년대, 60년대에 일본뇌염바이러스의 감염률은 수 천분의 1이었다. 아직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혈청시험이 개발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정확한 불현성 감염률의 파악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지만 지카바이러스 감염자 수는 알려진 것보다 많을 수 있을 것이다. 지카바이러스 혈청진단 시약의 조속한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지카바이러스 검사에서 고감도 시약을 사용함에 따라 혈청을 비롯한 각종 체액에서 바이러스 양성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양성률이 높은 핵산 탐지기술을 일본뇌염 감염자에게 적용할 경우에도 여러 체액에서, 그리고 같은 시료에서도 보다 장기간에 걸쳐 양성으로 시험될 수 있다.

 

현재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뎅기열 바이러스 등을 대조로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는 일본뇌염바이러스를 대조로 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Keith Pardee,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165()
잡지명
Cell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255~1266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