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량과 치수 변화에 따른 TBE-3의 열압 효과
- 전문가 제언
-
○ 최근에 개발하여 무기체계에 적용되는 고상 열압화약은 액상 화약에 비하여 장점이 많다. 그래서 최근 무기체계에 적용하기 위한 고상 화약과 액상 화약에 대해 의견이 분부하다. 액상 화약은 액체를 우선 분무상태로 분산한 후에 기폭 시켜야 하는 번거로워 어려움이 많으나, 고상화약은 일반화약처럼 기폭 시킨다. 그렇기 때문에 고상화약에 대해 폭발 중심에서부터 거리에 대한 온도(화구의 온도와 화구의 크기) 변화 그리고 폭발 후 연료의 2차 연소 시에 발생하는 과압(overpressure) 측정이 열압화약의 주 factor 이다. 이들 값을 개할지 같은 open 상태에서 측정 시에 바닥 표면 반사파의 영향을 차단하여 거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어야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실험으로 100% 성공했다고는 판단하기 어렵다. 현재 ADD를 비롯하여 선진국에서도 화약 조성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얻고자 노력하고 있다.
○ 실제로 열압화약에 대한 화구 온도와 과압 측정시험은 어려운 과제라 생각되며 화약 직경이나 질량 변화에 대한 효과는 아주 상식적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이 화약 조성은 특히 AP와 Mg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조성에 대한 영향을 보고자 한 것으로 판단 된다. 특히
Mg 연소 효과를 노려 먼거리 까지의 온도 상승이나 화구크기 효과를 바란 것 같으나 결과는 기타 열압화약과 유사한것 으로 판단된다.
○ AP와 Mg를 함께 사용한 주조 형태의 열압화약은 유변성이 우선적으로 양호해야 한다. 왜냐하면 AP와 Mg를 함께 사용한 조성의 경우는 더욱 감도가 더욱 민감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둔감 열압 화약 조성에 비하여 기폭성은 매우 양호할 것으로 판단되어 2중(dual) 충전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 열압화약에 Mg를 도입하여 열효율을 높이려는 의도는 좋으나 Mg는 일반적으로 취급상에 주의를 요하는 물질로 생각된다. 화염온도 측정 결과를 보면 직경 120mm 화약의 경우에 폭발 중심에서부터 2∼3m 거리에서 측정된 화염 온도는 약 1500∼3400 oC로 추정된다. 본 보고서의결과로 판단해 볼 때 Mg를 사용한 조성 화약은 더 많은 실험이 요할 것 같다.
- 저자
- Danica SIMI? , Uro? ANDJELI? , Dragan KNE?EV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13(1)
- 잡지명
- Central European Journal of Energetic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61~182
- 분석자
- 박*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