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r4+와 Ge4+가 함께 도핑된 TiO2를 사용한 화학작용제로 오염된 정밀장비의 제독
- 전문가 제언
-
○ 군용장비에도 전자광학부품, 시청각부품 등과 같이 고가이며 수분이나 온습도변화에 민감한 정밀부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비들이 화학작용제로 오염되었을 때 장비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제독하는 방안들이 중요한 연구주제가 되고 있다.
○ 물을 사용하는 대신에 유기용매에 제독제를 분산시켜 사용하거나 기체나 에어로졸 상태의 제독제를 사용하거나 저온 플라즈마(low temperature plasma)를 사용한 제독방법 등이 정밀장비의 제독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다. 또 금속산화물 촉매나 산화력이 있는 가스를 제독제로 응용하기 위한 연구사례들도 보고되고 있다.
○ 고체분말 상태의 제독제를 유기용매에 분산시킨 현탁액(suspension)으로 화학작용제를 제독할 경우 유기용매의 화학작용제 용해도, 휘발성, 인체 및 환경유해성, 인화성 등이 중요한 선택기준이 될 수 있다. 제독작업 후에 유기용매와 나노입자의 제거방법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 Zr4+와 Ge4+가 함께 도핑된 TiO2 나노입자에 의한 화학작용제 분해원리는 가시광선이나 자외선과 같은 광원을 필요로 하는 광촉매반응에 기초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태양광이나 자외선 조사장치가 없는 조건에서는 제독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군사용 제독제로서 운용성이 제한될 것으로 판단된다.
○ TiO2 나노입자 등과 같은 광촉매는 야외에서 태양광에 노출되는 장비의 표면에 코팅하여 화학작용제로 오염되었을 때 별도의 제독작업을 하지 않고 스스로 제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가제독(self decontamination)에 응용하는 방안이 바람직한 연구방향이 될 수 있다.
○ 국내에서도 정밀장비 제독을 목표로 물을 사용하지 않는 건식 제독기술에 대한 연구경험이 있고 제독제의 제독성능 시험에 관한 기술이 확보되어 있다. 이를 토대로 하여 화학작용제 분해성능이 우수한 나노입자 촉매를 선별하여 화학작용제 제독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Zhong She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302()
- 잡지명
-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11~119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