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부품용 CFRP 소재 및 가공기술 개발

전문가 제언

최근 세계적인 자원고갈과 에너지 절약, 환경문제에 관한 규제 강화는 친환경적인 소재개발의 필요성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단순히 성능이 좋으면서 가격이 저렴한 제품이 아니라 소비자와 사회의 요구에 부합되는 고기능성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부합되는 소재로 최근 운송수단의 경량화의 연구대상이 되고 있는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이 주목을 받고 있다. 차량에의 적용으로 중량 감소는 물론 이에 따른 제동, 조향, 내구 및 연비향상과 이산화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친환경적인 현재 최고의 소재이다.

 

주요 완성차업체들은 우수한 연비개선 효과를 바탕으로 각사 나름의 현황에 맞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경량화의 핵심은 고장력강판,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을 위주로 하였으며, 최근에는 CFRP를 장기적으론 유망하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CFRP는 뛰어난 물성을 가지고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성형가공이 어려워 지금까지는 경주용 자동차나 고급 승용차의 디스크 브레이크, 브레이크 패드, 리어 스포일러 등의 일부에만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탄소섬유 기업들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으로 캐빈, 보닛 등의 차체에 대한 적용이 늘고 있다.

 

국내 완성차업체들은 경량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을 이용한 개발이 주이고, 자동차 차체 및 부품에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적용하는 사례는 거의 전무한 형편이다. 그런 가운데 현대기아자동차는 차체 경량화를 위한 친환경 복합소재인 탄소섬유를 자체적으로 만들기로 하고 개발 중에 있다. 현재 현대자동차는 탄소섬유의 높은 가격 문제로 ‘TUIX’를 통해 튜닝 된 Sonata에 탄소섬유를 적용하는 데 그치고 있다. 후드와 보닛에는 독일에서 생산된 탄소섬유를 필름방식으로 입히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자동차 경량화의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국가별, 업체별로 신소재 중심의 개발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경량화의 핵심은 고장력 강판,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 경량 소재의 채용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CFRP가 유망하며, 이러한 소재의 개발은 물론 정밀도 높은 가공기술의 개발 또한 중요하다.

 

저자
Takashi Ishikaw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81(6)
잡지명
精密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489~493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