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 발현시스템에 의한 재조합 점막항체의 생산기술 개발

전문가 제언

외부 병원균이나 항원물질이 인체 기관들에 침입하는 경우 이 기관들의 내부 점막에 존재하는 점막항체들이 일차적인 방어체계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 점막항체를 활용한 백신치료법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주사형 전신면역반응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미래의 면역치료법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최근에 들어 점막항체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식물 기반 재조합 점막항체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식물체나 혹은 식물의 세포배양에 의한 재조합 항체를 합성하는 기술은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한 실정이지만 경제적 생산효율성 면에서 볼 때 동물 기반에 의한 백신생산보다 훨씬 효율성이 높은 이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기초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인간의 점막항체인 IgAIgM항체가 담배, , 옥수수 및 담배의 세포 발현시스템으로부터 이 항체들의 재조합 단백질이 합성되었으며, 생산된 재조합 점막항체들의 생물적 기능 및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자료들도 근래에 많이 보고되고 있다.

 

식물 기반 재조합 점막항체를 치료제로 시판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개선되어야 고려사항이 있다. 이를 테면 생산효율성이 높은 재조합 항체들을 대량으로 생산 가능한 발현시스템의 개발과 더불어 식물체로부터 생산된 재조합 항체단백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리 정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그리고 식물 기반 재조합 항체치료제와 관련된 행정적인 규정(면역발생원 여부, 제조공정 관련 조치사항 등)도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와 관련된 대응방안도 고려되어야 할 중요 사항이다.

 

특허가 만료된 기존의 시판용 재조합 점막항체(; Infliximab ) 바이오밀러(biosimilar) 혹은 바이오베터(biobetter)를 산업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식물 기반 생산시스템의 개발은 항체바이오의약품 산업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식물 기반 재조합 항체의 생산은 동물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높기 때문에 재조합 항체생산용 식물 발현시스템에 관한 기술경쟁력의 확보는 바이오의약 산업에서 중요한 표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Nikolay Vasilev, C.Mark Smales, Stefan Schillberg, Rainer Fischer, Andreas Schiermeye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34()
잡지명
Biotechnology Adva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7~87
분석자
정*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