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박테리오파지 MS2 virus-like particle(VLP) 기반의 새로운 전달 플랫폼

전문가 제언

VLP(Virus-Like Particle)는 바이러스 구조단백질로 조립되고 어떠한 유전물질도 없는 다중합체의 나노구조 입자이다. 특히 VLP는 반복적이고 고밀도로 표면에 표출되는 바이러스 표면단백질을 갖고 있어 전달 플랫폼으로서 응용 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중요한 것은 VLP는 바이러스에 의한 세포 통과에 책임이 있는 바이러스 단백질을 지녀 효율적으로 숙주세포로 진입할 수 있다는 점이다.

 

VLP는 대개 동물 바이러스, 박테리오파지 등 다양한 바이러스의 구성물을 포유동물세포, 식물세포, 곤충세포, 효모, 세균 및 무세포 플랫폼을 통해 발현하여 제조된다. 특히 박테리오파지 MS2-기반 VLP는 신속 대량 제조가 용이하고 캡시드에 다양한 표적 리간드를 표출하며, mRNA, miRNA 등을 자기조립하여 안정적으로 표적에 전달할 수 있는 특성을 지녀 백신개발과 치료 분야에 응용성이 매우 크다.

 

해외 선진국에서는 MS2 VLP의 전달시스템으로서 우수한 특성에 주목하고 이를 응용하여 백신 개발과 항암치료제의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mRNA, miRNA, 대분자 약물 등의 전달 플랫폼으로서 MS2 VLP를 이용하려는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현재 VLP 시스템을 이용한 B형 간염 백신, 자궁경부암 백신이 시판되고 있으며 다양한 질환에 대한 백신과 각종 치료제도 MS2 VLP를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VLP를 이용한 자궁경부암 백신이 시판되고 있으나 VLP 기술의 사용 예가 극히 드물고 VLP 전달체계와 관련된 기반기술 연구도 미진하다. 국내 기업들은 VLP 관련 해외 기술을 도입하여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으로 우리나라도 VLP 제조 및 대량배양 기술을 향상시킨다면 이 분야에서 국제경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의 저자들은 새로운 운반 플랫폼으로서 MS2 VLPs는 약물을 특이 표적조직에 안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을 지녀 그 응용성 전망이 매우 유망하다고 하였다. 다만 이러한 VLP 자체가 면역원성을 나타내 VLP에 대한 항체 반응이 의도된 목표에 VLP의 전달을 방해할 수도 있는 문제는 해결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저자
Yu Fu, Jinming L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211()
잡지명
Virus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9~16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