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핫멜트 접착제
- 전문가 제언
-
○ 고분자 계면활성제는 알긴산나트륨과 같은 천연고분자 계면활성제와 합성고분자 계면활성제가 있으며, 작용기의 성질에 따라 양이온성, 음이온성, 비이온성으로 분류된다. 고분자성 계면활성제는 표면흡착성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와 유사하며, 분자량이 커서 확산속도가 느리지만 일단 흡착이 되면 비가역적인 흡착층을 형성하며 서스펜션, 에멀션, 거품 등의 안정화에 유용하다.
○ 계면활성제로 저분자량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잉크, 도료, 접착제 등에서는 도공 후 제품의 물성에 악영향을 주기도 한다. 고분자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소수성의 밸런스를 취하기 위해 이온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고 있다. 그러나 계면활성 성능은 우수하지만 내수성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어 반응성 작용기를 도입하거나 무용제형 액상 고분자 계면활성제도 연구되고 있다.
○ 이 발명은 술폰화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올과 잔류 불포화를 가진 무수물을 반응시킨 다음 생성된 폴리머를 온화한 산-염기 상태하에서 술폰화하여 제조하며, 말레산 무수물을 사용할 경우 술폰화는 폴리머의 카르보닐 탄소의 알파 위치에서 일어난다.
○ 특허청구범위를 보면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을 사용하여 술폰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계면활성제를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이며, 에테르결합과 에스테르결합의 비율이 1:1 - 25:1이다.
○ 국내에서는 아모레퍼시픽과 동우화인켐, 애경산업이 고분자 계면활성제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관련기업이 이 발명의 계면활성제를 활용할 경우 새로운 개념의 계면활성제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은 한국특허에 출원이 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며, 술폰화 촉매, 에테르결합과 에스테르결합의 비율을 변경하는 연구를 통해 새로운 고분자 계면활성제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Huntsman Petorchemical LL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US20160145382
- 잡지명
- U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