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기후변화는 멈추었는가?
- 전문가 제언
-
○ 기후변화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지극히 복합적인 현상이다. 태양이나 은하계의 물리적 변동에서부터 미생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된다. 지구온난화의 멈춤 등에 관련된 기후변화 전망과 대응은 어느 한 집단이나 개인 또는 단순 통계적인 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는 영역을 넘어 다양한 전문가들의 지식의 통합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 지구온난화를 발생시키는 온실가스는 태양으로부터 입사되는 짧은 파장영역의 복사에너지를 지표, 대기, 구름에 의하여 흡수 방출되는 장파복사영역의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서 지구 대기간의 복사평형에 의한 온실효과를 야기한다.
○ 산업혁명 이후 온실가스의 복사강제력은 +2,63W/m2 으로서 인위적 요소를 고려한다면 +1.65W/m2이 된다. 이것은 인간에 의하여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냉각 효과를 포함한 값이다.
○ 최근 IPCC 4차 보고서에 따르면 1961-2005년 기간 지구의 평균기온은 0.74℃ 증가하여 왔고, 2009년 지구대기의 이산화탄소(CO2) 농도는 386.8ppm으로서 년 평균 1.5 ppm의 증가율을 보여 미래 지구온난화는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지구기후시스템 내의 물리시스템과 생물시스템에 나타난 변화의 90%는 온난화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향후 20-30년간 온난화는 온실가스 시나리오 종류에 민감하지 않고,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550ppm이 되어, 기온은 10년에 0.2℃ 정도 상승하여 2050년까지 1.3 - 1.8℃ 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해수면은 18 - 59cm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 2013-2014년에 발간된 IPCC 5차 평가보고서의 주요 관심사는 (1)기후변화의 불확실성, (2)지구의 탄소순환과 온실가스 농도 전망, (3)해수면 상승과 빙상의 역할, (4)적응과 완화의 연계성과 지역기후 변화이다. 따라서 미래기후 전망하기 위해서는 통합적 자료의 활용과 고지식하지 않은 전문가적 이해가 요구된다.
- 저자
- Stephan Lewandowsky, James S. Risbey, Naomi Oreske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2016()
- 잡지명
-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rological Socie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23~733
- 분석자
- 오*남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