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 연료수송용기의 전산유체역학 해석

전문가 제언
사용후핵연료 저장용 시멘트 연료수송용기(concrete cask)는 핵연료의 건전성 유지를 위해 핵연료 집합체를 냉각하고, 규제측면에서 핵연료 피복관 온도를 673K 이하로 유지하여야만 한다. 그래서 사용후핵연료 저장용기의 열-유체역학이 안전성 분석에서 핵심 사안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FLUENT 14.0 코드로 3D 전산유체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여 HI-STORM 100S 사용후핵연료 연료수송용기의 열적 거동을 연구하였다. 연료 집합체를 기공매체로 가정하고 압력 손실과 유효 열전달계수를 유도하기 위한 근사법을 개발하여 열-유체해석을 하고 설계/열부하/주위온도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하였다.

 

정상상태에서 HI-STORM 100S 연료수송용기에 대해 3D CFD 모델을 적용하여 연료의 최대온도가 규제온도(673.15 K)보다 50K 더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민감도 분석에서 최대온도에 대한 설계에서 주위온도의 영향은 중간정도이나 열 부하의 영향이 가장 컸다. 연료 집합체의 정상 배열에서 40%에 가까운 열적 여유를 보였지만, 규제온도보다 4% 작은 최대온도를 보이는 열 부하 배열도 있음을 알았다.

 

한국의 사용후핵연료는 2024년도 경에 발전소 내 저장 용량이 한계에 도달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임시저장으로 건식저장을 선택한다면 건식저장 시설은 저장용기와 포장(overpack)공통적인 단순구조로 구성된다. 그래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는 이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열 해석 방법론을 제시하였고, 또한 학교 및 기타 기관에서도 건식저장용기의 열 해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에서 개발 중인 HI-STORM 건식저장 연료수송용기에 대한 열 해석을 FLUENT 14.0 코드로 3D CFD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FLUENT 코드뿐만 아니라 다른 열 해석 코드를 사용한 CDF 시뮬레이션 모델개발에 유효한 아이디어를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
Luis E. Herranz, Jaime Penalva, Francisco Feri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76()
잡지명
Annals of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4~62
분석자
박*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