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혈액-뇌 장벽에서 바이러스의 신경침입 억제 기전

전문가 제언

뇌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뇌혈관에는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이라는 특수한 구조물이 있어 색소, 약물 미생물 등의 이물질이 뇌조직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에는 뇌 미소혈관계 내피세포(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cells: BMECs)BBB에 밀착해서 결합하고 있으며, 주변을 신경교성상세포가 빈틈없이 에워싸고 있는 밀착된 구조를 만들고 있다.

 

BBB는 선택적인 장벽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어 어떤 물질은 통과하지만 어떤 물질은 통과하지 못한다. 포도당, 필수아미노산, 전해질 등은 내피세포를 통해 수동적으로 통과하지만 혈중의 대사산물, 독소, 약물, 미생물 등은 뇌세포로 들어오지 못하게 막는다. 그러나 물, 공기, 이산화탄소와 같은 지용성 물질은 자유롭게 장벽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알코올, 니코틴, 마취제 등은 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양대 이상경 교수팀은 병원균이 BBB를 통과하는 원리를 역으로 이용해 뇌질환을 약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BBB에 있는 수용체는 특정한 구조를 가진 물질만 붙잡을 수 있는데 어떤 병원균은 이런 수용체에 부합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 BBB를 통과해 뇌에서 번식할 수 있다. 이 교수가 연구한 광견병 바이러스도 수용체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바이러스 중 하나다. 광견병 바이러스를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 중 하나인 RVG는 신경세포의 전달물질을 붙잡는 수용체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뇌질환 치료물질이 BBB를 통과할 수 있는 열쇠도 RVG에 있었다. 이 교수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뇌질환 치료약물을 RVG를 이용해 BBB를 통과해 뇌로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세포 지향성 전달체를 이용해 약물이 간단한 혈관주입으로도 뇌에 전달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약물이 뇌에 전달된 뒤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iRNARVG에 합성해 일본뇌염에 감염된 쥐의 뇌에 전달해 쥐가 생존함을 확인하였다.

저자
Jonathan J Miner and Michael S Diamond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38()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Immu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8~23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