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콘크리트 재생골재(RCA) 제조 기술
- 전문가 제언
-
○ 건축 및 철거 폐기물에서 회수되는 폐콘크리트 재생골재(RCA; recycled concrete aggregates)는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RCA는 굵은 골재, 잔 골재 등으로 분류된다. 천연 골재에 붙어 있던 낡은 시멘트 페이스트를 다양한 단계에서 파분쇄(comminution)로 제거하면 RCA의 공극률이 감소한다.
? RCA의 공극률은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와 탄성 계수의 감소, 건조 수축의 증가, 콘크리트 작업성(workability) 손상, 콘크리트 내구 성능 감소 등을 유발한다. 그 이유는 RCA 공극률이 수분 흡수성과 공기 침투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 건축 폐기물의 처리 단계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1) 선분류; 2) 투입; 3) 공급; 4) 일차 파쇄; 5) 이차 파쇄; 6) 삼차 파쇄; 7) 세척.
? 선분류 단계에서는 처리에 앞서 미리 분리하기 위해 압쇄기로 투입 전 파쇄 작업을 하고, 스크린으로 우선 선별한다. 투입 단계에서는 호퍼(hopper)로 선별 폐기물을 처리 라인에 투입한다. 공급 단계에서는 피더(feeder)로 투입 폐기물을 일차 파쇄기로 공급하고 진동으로 특정 입도 미만의 골재를 분리한다.
? 일차 파쇄 단계에서는 일차 파쇄기로 파쇄력이 좋은 죠우 크러셔(jaw crusher)를 사용하여 일정 크기로 파쇄한다. 이차 파쇄 단계에서는 소용량 죠우 크러셔 또는 더블 죠우 크러셔 등으로 보다 세밀하게 파쇄한다. 삼차 파쇄 단계에서는 임팩트 크러셔 또는 콘 크러셔 등으로 최종 배출 골재보다 큰 골재를 처리한다. 세척 단계에서는 골재 세척기로 RCA 품질 향상을 위해 미분 및 이물질을 제거한다.
○ 건축 및 철거 폐기물로부터 폐콘크리트 재생골재(RCA)의 제조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2016년에 강원대학교에서 마이크로파 및 산성용액을 활용해 RCA 부착 모르타르 제거 기법을 연구하였다. 향후에는 성능 좋은 RCA 제조를 위한 이상적(저 에너지 소비, 저 비용)인 혁신 공정 전략이 탐색되어야 한다.
- 저자
- Gomes PCC,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45()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71~179
- 분석자
- 김*호
- 분석물
-